없어서 난리인데 백신 안 맞겠다는 사람들.."접종 전쟁은 이제 시작"

손성원 2021. 6. 5. 17: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 "백신 접종꺼리는 사람 잘 찾는게 관건"
미국·프랑스 등 백신 접종률 상승세 정체 이어져
갖가지 가짜뉴스 활개에 백신 회의론까지 겹쳐
프랑스 중부 리옹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접종센터에서 4월 8일 시민들이 화이자 백신을 맞은 뒤 이상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리옹=AP 연합뉴스

1일(현지시간)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 평균 접종률은 10.7%에 달했습니다. 지난달 31일 기준으로는 이스라엘(62.98%) 영국(58.01%) 캐나다(56.69%) 몽골(56.67%) 칠레(55.06%) 헝가리(53.28%) 미국(50.15%) 독일(37.65%) 등 순입니다. 반면 4일 기준 국내 백신 접종률은 13.8%입니다.

숫자만 보면 백신 접종이 순조롭게 흘러가고 있는 것 같다고요? 하지만 마음을 놓아버리면 오산입니다. 진짜 '국민들 백신 접종시키기 숙제'는 지금부터거든요.


"백신 접종 노력 몇 주 내 고비 맞을 것" 경고

전 세계 백신 접종 흐름이 증가세를 보이다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아워월드인데이터 캡처

프랑스는 지난달 31일부터 18세 이상 모든 거주자들에게 백신 자격이 주어졌습니다. 당국은 한때 느렸던 예방접종 캠페인이 본궤도에 올랐다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날 기준 프랑스의 백신 접종 비율은 38.19%에 달했죠.

하지만 프랑스 내 전문가들은 오히려 지금부터 새로운 문턱이 남아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현지 매체 프랑스24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 노력이 몇 주 내 고비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파리소르본대 뱅상 마헤샬 바이러스학과 교수는 4월 매체에 "자발적으로 나타난 이들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끝나면 이제는 다른 이들에게 손을 뻗어야 할 차례"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제는 의료 시스템이 미처 챙기지 못했거나 백신 접종을 꺼리는 사람들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프랑스인 44% "백신 접종하지 않을 것"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백신을 맞지 않겠다"는 응답은 꾸준히 줄고 있지만 5월 현재 여전히 20%가 넘는 사람들이 "맞지 않겠다"고 답하고 있다. 프랑스 공중보건기구 홈페이지 캡처.

이는 이미 수치로도 드러나고 있습니다. 4월 프랑스 공중보건기구의 수치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44%가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프랑스 연령별 백신 접종 의향 비율. 프랑스 공중보건기구 홈페이지 캡처.

위의 데이터를 볼까요? 만 65세 이상의 경우 지난해 12월과 1월 사이에는 급격히 늘었다가도 점점 증가세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죠. 만 18세~24세도 3월과 4월 사이 급격히 늘다가 또 이후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접종 둔화 흐름은 미국에서 이미 관찰됐습니다. 4월 중순까지 만 18~64세 미국 인구의 거의 50%가 적어도 백신 1차 접종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백신 접종 속도는 급격히 느려졌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3월 말 1차 백신 접종자 수는 하루 338만 명을 기록한 뒤 4월 13일 약 50% 정도 하락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치명율이 높은 고령 인구의 예방접종 노력도 주춤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70세 이상에서는 백신 접종률이 증가하지 않고 있고, 75세 이상에서는 79%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심지어 80세 이상의 사람들 중 약 25%는 백신 접종 최우선 순위 그룹에 속하지만 단 한 번의 백신도 접종받지 못했다"고 알랭 피셔 백신전략 오리엔테이션 위원장이 말했습니다.


미국, 흑인·히스패닉계부터 시골의 복음주의 백인까지

4월 30일 1년 1개월 만에 재개장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의 디즈니랜드가 방문객들로 붐비고 있다. 애너하임=AP 연합뉴스

이전에는 흑인과 히스패닉계 미국인들이 백신을 거절했지만 현재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지난달 4일 NBC 방송에 따르면 백인, 복음주의, 시골의 미국인들이 백신 접종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여전히 가짜뉴스를 믿고 있기 때문이죠.

NBC 방송은 미시건주(州) 시골의 환자들을 인용, "백신은 정부가 국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거나 코로나19는 중국의 생화학무기라는 주장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여기에는 미 보수 매체 폭스뉴스도 한몫했습니다. 폭스뉴스는 "(코로나19) 백신은 사회적 통제의 도구"라면서 보건 전문가들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이미 코로나19 확산세가 잦아든 곳도 백신 접종 설득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달 11일 미 캘리포니아주 지역 매체인 칼매터스는 "전날 캘리포니아 교도소 직원들 중 57%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않겠다고 답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주 내 35개 기관 중 30개 기관에서는 2차 접종까지 맞은 직원들은 절반도 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이미 지난해 말 코로나19 확산세가 교도소를 휩쓸고 갔기 때문이라는 분석인데요. 익명의 직원은 "이미 교도소는 코로나19 확진으로 비극적인 집단 면역에 도달한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미 공화당원 40% "백신 접종 계획 없어"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 있는 미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시애틀 매리너스 홈구장에서 지난달 1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마스크를 쓰지 않은 관중이 매리너스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경기를 즐기고 있다. 시애틀=AP 연합뉴스

미국에서는 공화당이 큰 변수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지난달 17일 미국 PBS 방송에 따르면 공화당원 10명 중 4명이 백신을 맞을 계획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미국 여론과는 반대되는 상황입니다. 사실 미국에서는 정권이 바뀌면서 코로나19 대응 평가가 점점 좋아지고 있는데요. 지난해 3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코로나19 대유행 대처에 대한 긍정 평가는 44%에 불과했지만, 이번 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66%가 조 바이든 현 대통령의 대처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 공화당 지도자들도 백신 보급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릭 스콧 미 공화당 상원의원은 2일 미 교통안전청(TSA)이 미국 내를 여행하는 항공 이용객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보를 요청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스콧 의원은 "백신 여권이라는 우스꽝스러운 관료적 요식 행위 없이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미 공화당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는 4월 초 가장 먼저 백신 여권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요. 뒤이어 텍사스, 알래스카, 조지아, 애리조나, 와이오밍, 앨라배마 등이 이에 합류했습니다.


홍콩, 반중 정서에 따른 중국산 백신 거부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3월 22일 홍콩 정부청사에서 시노백 백신 2회차 접종을 하고 있다. 홍콩=AP 뉴시스

홍콩은 또 다른 정치적 이유로 백신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인구 750만 명의 홍콩에서는 2월 말 이후 현재까지 11.6%의 사람들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지난달 보도했습니다. 심지어 홍콩에서는 백신 접종이 너무 더뎌 당국이 국민에게 9월에 백신이 만료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죠.

홍콩은 중국의 시노백 백신과 독일의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反)중 정서 때문에 홍콩 시민들은 시노백 백신에 대해 큰 회의감을 갖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이에 홍콩은 백신 접종 독려를 위해 인센티브 차원에서 '주택 로또'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시노그룹 등 홍콩 부동산 기업들은 18세 이상 성인 중 코로나19 백신을 2차까지 모두 접종한 이들 중 추첨을 통해 1등 당첨자에게 15억 원이 넘는 42㎡ 규모 아파트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렇게 백신 접종 유인책으로 '복권'을 나눠주는 사례는 미국에도 있습니다. 뉴욕·오하이오·메릴랜드·켄터키·오리건주는 백신 접종을 완료한 이들을 대상으로 추첨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손성원 기자 sohnsw@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