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줄고 월세 늘어.. 평균 거주비로 33만원 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 1분기 세입자 가구의 평균 월세는 3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전국 1인 이상(농림어가 포함)의 월세 거주 가구는 한 달 평균 32만 8000원을 '실제 주거비'로 지출했다.
월세 거주 가구의 실제 주거비(32만 8000원)는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26만 8000원)이나 외식 등이 포함된 음식·숙박 지출(26만 9000원)보다 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주비, 소비지출액 16.5%로 부담 커져
올 1분기 세입자 가구의 평균 월세는 3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전국 1인 이상(농림어가 포함)의 월세 거주 가구는 한 달 평균 32만 8000원을 ‘실제 주거비’로 지출했다. 1년 전(30만 8000원)보다 6.2% 올랐다. 실제 주거비란 주택을 빌리기 위해 매달 쓰는 돈(월세)을 말한다.
통계청이 조사하는 7200가구 가운데 19.9%가 월세 거주 가구인데, 이들의 주거비는 최근 들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1분기까지만 해도 월세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9.0% 줄었다. 이후 2분기(-7.1%), 3분기(-2.1%)에 감소폭이 축소되더니 지난해 4분기(4.5%)에는 증가세로 전환됐다. 올 1분기에는 더 많이 올랐다. 전세난에 전세를 구하지 못한 이들이 월세 시장으로 내몰리고, 집주인들이 월세를 올려 보유세 부담을 전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올 1분기 월세 거주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한 해 전보다 6.0% 늘어난 311만 4000원이었다. 근로소득은 1.0%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이전소득(34.1%), 사업소득(12.4%)이 크게 늘어 전체적으로 봤을 때 소득 증가세는 월세 상승세와 비슷했다.
월세 가구의 한 달 소비지출액은 198만 4000원으로 월세가 한 달 소비의 16.5%를 차지했다. 월세 거주 가구의 실제 주거비(32만 8000원)는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액(26만 8000원)이나 외식 등이 포함된 음식·숙박 지출(26만 9000원)보다 컸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 1분기 월세가 올라 주거비 부담이 늘었다”고 말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40대 女교사, 고교생 제자와 부적절한 관계…아동학대 유죄
- 젖 먹이는 엄마에게 쏟아진 “야하다” 손가락질
- 1년 전 담근 ‘뱀술’…뚜껑 여는 순간 튀어 올라 사람 물었다
- “집값 때문에 촛불 든 게 아니다” 왜 김부선은 ‘분노선’이 되었나
- 새벽 女 사는 집 창문으로 남자 팔이 쑥…법원 “주거침입”
- 50대 여성 대형견에 물려 사망…인근 사육장 “우리 개 아니다”
- 2살 아들, 남편과 닮았다는 이유로 굶기고 시신 유기한 친모
- [단독] ‘불법 격리’ 폭로 간호사 징계 내렸던 그 정신병원, 의사 지시없이 환자 27명 불법 격리
- 머스크에 분노한 투자자들 “화성 대신 감옥 가라”
- 소주·우유랑 너무 똑 닮았는데… ‘먹지 말라’ 써 붙이면 괜찮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