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근로로 2016년 74만5000명 사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시간 근무가 연간 근로자 수십만명의 목숨을 앗아간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보건기구(WH0)와 국제노동기구(ILO)가 16일(현지시간) 내놓았다.
로이터에 따르면 WHO 등이 국제환경저널에 게재한 장시간 근무와 생명 손실의 연관성에 관한 첫 글로벌 연구 결과를 보면, 2016년 74만5000명이 오랜 근무로 인한 뇌졸중·심장 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당 55시간 일은 심각한 위험"
장시간 근무가 연간 근로자 수십만명의 목숨을 앗아간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보건기구(WH0)와 국제노동기구(ILO)가 16일(현지시간) 내놓았다.
로이터에 따르면 WHO 등이 국제환경저널에 게재한 장시간 근무와 생명 손실의 연관성에 관한 첫 글로벌 연구 결과를 보면, 2016년 74만5000명이 오랜 근무로 인한 뇌졸중·심장 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과 비교하면 거의 30% 늘어난 수치다.
연구는 2000~2016년 194개국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일주일에 55시간 이상 일하면 35~40시간 일할 때와 견줘 뇌졸중 위험이 35% 더 높은 걸로 나타났다.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은 17% 더 높았다.
마리아 니이라 WHO 환경기후변화보건국 이사는 “주당 55시간 이상 일하는 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이라며 “이 정보로 우리가 원하는 건 더 많은 행동과 근로자 보호를 촉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피해자 대부분(72%)은 남성이고, 연령대는 중년 이상이었다. 사망은 교대 근무보다 훨씬 늦은 시점에, 때로는 수십년 후에 발생했다.
지역적으론 남아시아와 서태평양에서 피해가 많았다. WHO의 지역 구분으론 중국, 일본, 호주를 포함하는 곳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포함하지 않았다. WHO 관계자는 그러나 “코로나19 비상사태로 인한 원격 근무 급증과 글로벌 경제 둔화로 위험이 늘어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WHO 측은 팬데믹이 노동 시간 증가 추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면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최소 9%의 사람이 장시간 근로를 한다고 추정했다.
니이라 이사는 “유엔이 이번 연구에 비춰 정책 개선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원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3만명 동의한 손정민 사건 청원 공개하라”…靑에 요청 쇄도
- “젊을 때 물려주자” 서울 집합건축물 60대→30대 증여 늘어나 [부동산360]
- 정민씨 父 “소중한 건 관심…누군가 부당압력 행사한다면 천년만년 살것 같나”
- 서울·인천 등 7개 교육청, 과밀학급 해소 기간제교원 채용 ‘0명’
- 전동킥보드도 무선충전한다
- AZ 백신 추가 공급, 화이자 백신 접종 재개…백신 수급 숨통
- 軍 총기 오발사고 피해자 43년 만에 보상
- 아이유, 20대 마지막 생일 맞아 소외계층 위해 5억원 기부
- “100만원→19만원” 불운의 LG마지막폰, 3000대 ‘헐값’에 판다
- 코로나로 지난해 ‘가족상담’ 건수 7만건…전년比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