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학기 전면등교, '안정적 백신 인프라'가 관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육부가 오는 2학기 초·중·고교 전면 등교를 추진한다고 밝힌 가운데 김부겸 국무총리가 이를 재차 강조하면서 실행 의지가 더욱 강해졌다.
김 총리는 지난 15일 '스승의 날'에 맞춰 "작년 한 해 원격수업과 방역을 통해 감염위험을 줄이는 데 주력했다면, 2학기부터는 전면 등교를 목표로 교육 공백 회복을 위해 온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오는 2학기 초·중·고교 전면 등교를 추진한다고 밝힌 가운데 김부겸 국무총리가 이를 재차 강조하면서 실행 의지가 더욱 강해졌다. 김 총리는 지난 15일 ‘스승의 날’에 맞춰 “작년 한 해 원격수업과 방역을 통해 감염위험을 줄이는 데 주력했다면, 2학기부터는 전면 등교를 목표로 교육 공백 회복을 위해 온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앞서 유은혜 교육부총리도 “학교 밀집도 조정, 철저한 방역을 바탕으로 학생 등교를 위한 준비를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9월 전면 등교 의지를 천명했다.
전면 등교의 당위성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온라인수업 등으로 커진 학력 격차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이다. 특히 대면수업의 결손을 사교육으로 메울 수 없는 저소득층 아이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맞벌이가정에 전가된 육아나 돌봄 부담도 사회적 고민거리다. 온라인수업 장기화에 따른 아이들의 사회성 결핍도 걱정이다. 문제는 2학기 전면 등교의 인프라를 어찌 갖추느냐에 달려 있다. 관건은 두말할 것도 없이 안정적 백신 수급과 접종 속도다. 정부는 백신 접종을 6월 말까지 1300만명, 9월까지는 국민의 70%까지 1차 접종을 마치고 ‘11월 집단면역 형성’이라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2학기 전면 등교가 가능하려면 최소한 ‘9월까지 70% 접종’이라는 목표가 실행돼야 우리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대면수업을 받을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별도로 전면 등교가 코로나 확산의 새로운 불씨가 되지 않도록 학교에 특화된 철저한 방역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서울·울산교육청의 PCR(유전자증폭) 검사와 서울대의 신속분자진단 검사가 무증상자까지 신속하게 선별해 집단감염의 위험을 줄이는 데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만큼 이의 정확도를 더욱 높여 확산·적용할 만하다. 교실은 3밀(밀접·밀집·밀폐)에 따른 감염·전파 위험이 큰 환경이므로 학년별 시간차 등교 등 지금과는 다른 차원의 학교 내 거리두기 방안도 제시돼야 할 것이다.
교사들에 대해서는 백신 접종이 차질 없을 것으로 보이나 현재로서는 청소년들에게 맞힐 수 있는 백신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이 난제다. 청소년들의 감염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크지 않다는 점 때문에 각국 정부나 제약사들이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탓이 크다. 그러나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2~15세 청소년의 화이자 백신 사용을 긴급 승인한 뒤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등 접종 환경이 나아지고 있는 만큼 상황변화에 따른 기민한 대처가 필요하다. 21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백신 수급의 숨통이 트이는 성과가 있길 기대한다.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3만명 동의한 손정민 사건 청원 공개하라”…靑에 요청 쇄도
- “젊을 때 물려주자” 서울 집합건축물 60대→30대 증여 늘어나 [부동산360]
- 정민씨 父 “소중한 건 관심…누군가 부당압력 행사한다면 천년만년 살것 같나”
- 서울·인천 등 7개 교육청, 과밀학급 해소 기간제교원 채용 ‘0명’
- 전동킥보드도 무선충전한다
- AZ 백신 추가 공급, 화이자 백신 접종 재개…백신 수급 숨통
- 軍 총기 오발사고 피해자 43년 만에 보상
- 아이유, 20대 마지막 생일 맞아 소외계층 위해 5억원 기부
- “100만원→19만원” 불운의 LG마지막폰, 3000대 ‘헐값’에 판다
- 코로나로 지난해 ‘가족상담’ 건수 7만건…전년比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