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자기 표현·취향..오디오 콘텐츠, MZ세대를 잡아라
음원 플랫폼은 다양성
라디오 플랫폼은 자기 표현·취향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국내 오디오 콘텐츠 시장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타난다. 멜론, 플로 등과 같은 음원 플랫폼이 K팝 스타를 비롯한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제작하는 콘텐츠와 스푼라디오를 필두로 한 개인 오디오 방송 플랫폼의 콘텐츠다.
지금 음원 플랫폼은 오디오 콘텐츠 확보 전쟁에 한창이다. 국내 1위 음원 플랫폼 멜론은 지난해 5월 기존의 멜론 라디오를 개편한 ‘멜론 스테이션’ 서비스를 시작했다. 멜론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대비 현재 일간 재생수(pv)는 120% 성장했으며, 멜론유료 가입자의 약 20%(2021년 4월 기준)가 오리지널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다. SK텔레콤의 자회사 드림어스컴퍼니가 운영하는 플로(FLO)는 이달 초 음악 및 오디오 콘텐츠에 3년간 20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윌라, 스푼라디오 등과의 파트너십 강화도 그 일환이다. 스포이파이는 현재 220만 개의 팟캐스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연내 론칭 계획이다.
음원 플랫폼이 오디오 콘텐츠를 강화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정민재 대중음악평론가는 “음악의 배급만으로는 수요가 나지 않기 때문에 오디오 콘텐츠를 통해 충성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이유로 음원 플랫폼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넘어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기 위해 독점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플로 관계자는 “최근 오디오 시장의 성장세가 빨라지고 있어 독점 콘텐츠를 통해 소비 변화의 트렌드를 선점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고, 멜론 관계자는 “많은 이용자가 새로운 오디오 콘텐츠를 감상하고 즐거움을 얻는 ‘리스닝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목표로 고민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MZ세대 소비자를 집결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정 평론가는 “모든 문화 콘텐츠는 10대로부터 시작한다. 10대에서부터 반응이 나오지 않고, 소비가 맞춰지지 않는다면 그 어떤 콘텐츠도 살아남지 못하기에 이들 세대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음원 플랫폼의 오디오 콘텐츠가 가진 무기는 ‘다양성’이다. MZ세대를 겨냥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로 여러 유명인사들을 앞세운다. 멜론에서 MZ 세대의 선호가 높은 콘텐츠는 SM엔터테인먼트의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을 수 있는 ‘SMing’과 ‘오늘음악’이다. 두 콘텐츠는 1020 세대가 청취자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뽀로로의 볼륨을 높여요’의 주요 청취자다. 멜론 스테이션 이용자 중 30대의 67%가 이 콘텐츠를 듣고 있다. 멜론에서 인디음악을 소개하는 오디오 콘텐츠 ‘인디스웨이’를 진행하는 정민재 평론가는 “‘인디스웨이’는 3040 세대도 적잖이 듣고 있지만, 1020세대의 비중이 크다”라며 “음악 이야기를 나누는 콘텐츠이지만 이해하기 쉽고 친숙하면서도 대중적으로 접근한다”고 말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효율적으로 요약된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도 인기다. 플로에선 MZ세대의 고민을 다루는 금융경제 뉴스레터 ‘어피티’, ‘K팝으로 읽는 MZ 유니버스’ 등이 인기가 많다. 플로 측은 “세대나 장르에 상관없이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다양하게 즐기는 MZ세대의 특성이 콘텐츠 소비 패턴에도 잘 드러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스푼라디오, 블라블라 등과 같은 라디오 플랫폼에선 MZ 세대 개개인의 취향이 보다 분명하게 나타난다. 인지도가 높은 유명인이 아니라도 누구나 자신의 목소리로 불특정 다수와 소통할 수 있다. ‘오디오계의 유튜브’ 로 불리는 스푼라디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라디오 플랫폼이다. 30만명의 DJ가 일간 15만개의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 전세계에서 3000만 다운로드 수를 돌파했다. 스푼 방송을 직업으로 삼는 ‘스푸너’라는 전업 DJ도 생겼고, 이들로 인해 신규 사용자가 유입되고 있다. 블라블라는 1인 오디오 라디오에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해 청취자들의 결속력을 높였다.
스푼라디오나 블라블라 모두 출발은 ‘일상의 소소함’이었다. 대단하지 않아도 자신의 일상을 이야기하고, 함께 웃고 즐기는 콘텐츠가 주를 이룬다. 그 안에 ‘자기만의 스토리’가 담겨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다양한 주제로 누구나 자기를 표현하고, 여기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청취자로 참여하며, 채팅으로 소통한다.
블라블라를 운영하는 김영종 스포트라이트101 대표는 “클럽하우스처럼 유명인의 어려운 콘텐츠가 아닌 편하게 수다를 떨거나, 잡담하고 소통하는 20대의 소소한 콘텐츠가 인기가 많다”며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이나 콘텐츠, 취향에 대해선 확실한 지지를 보내는 디지털 네이티브다운 MZ세대의 성향이 플랫폼 안에서 일상화된 모습을 보인다”고 말했다.
she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유리, 베이비시터 고용…“난 돈 벌어야 하니까”
- “삼성 갤버즈 귓병 유발 진짜?” 중국 국영방송까지 ‘때리기’
- 빌 게이츠, MS여직원과 20년전 혼외 관계 인정
- 정민씨 母 “전화 왜 안했나…절대 용서 못해”
- [영상] 5층 화재빌딩서 점프 ‘괴력의 고양이’
- “근거없는 공격 멈출지 우려” 정민씨 친구 보호모임도 생겼다
- [전문]故손정민 친구 첫 공식입장...“가족·친척 측 유력 인사 없어”
- “그때 샀어야”…2년전 집값보다 비싼 전세
- 두 아이 잔혹 살해하고 자수한 엄마…“기억 안나” 발뺌
- 머스크 "비트코인 안 팔았다" 해명에도 하락세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