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소양 강화 방점.. 온라인 연계 교과서로 최신 지식 반영

정필재 2021. 5. 17. 05: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부, 교육과정 개정 추진 내용 보니
미래교육 비전·인재상·지원체계 등
6월 15일까지 대국민 설문조사
초·중·고별 맞춤형 교육 기반 마련
교실도 다양한 학습에 맞춰 재구성
3분기 최종안 발표 뒤 2022년 말 고시
“경쟁 중심의 교육과정으로는 아이들이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어려울 것입니다. 다른 사람과 협력하고 연대해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 교육과정이 만들어져야 합니다.”(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정부가 국가교육과정 개정에 팔을 걷어붙였다. 국가교육과정 개정이 논의되는 건 2015년 이후 7년 만이다. 교육부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에 대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경쟁보다 협업에 중심을 둔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교육부는 정책 연구 단계부터 대국민 참여를 유도해 백년대계의 근간을 다질 방침이다.

16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박형주 아주대 총장을 국가교육과정개정추진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하고 교육과정 개정 닻을 올렸다. 교원과 학계, 학부모를 포함해 범교과적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교육과정을 연구·개발하고 쟁점을 논의해 개정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의견 수렴 나선 교육부

교육부는 우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이달 15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한 달간 대국민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설문에는 미래 교육 비전과 추구하는 인재상, 교육목표, 지원체계 등에 대한 질문이 담겼다. 국가교육회의는 국민참여단을 모집 중이다. 국민참여단은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정책 토론을 진행하는 등 교육의제 발굴과 교육 방향 설정 과정에 개입하게 된다.

교육부는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국가교육회의 공론화 결과 등을 반영해 총론 주요사항 최종안을 확정하고 3분기쯤 발표할 계획이다. 내년 10월에는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할 방침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은 2024년 초등학교 1, 2학년을 시작으로 2025년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적용된다. 교육부는 개정된 교육과정에 맞춘 대입제도 개편방안도 검토한 뒤 2024년 상반기에 2028학년도 새 대입 체제를 발표할 계획이다. 유 부총리는 “교육의 큰 방향을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적 합의 과정에 국민의 집단지성이 모일 것”이라며 “이 결과를 개정 교육과정에 온전히 담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본소양, 읽기·쓰기에서 디지털로

교육과정 개정의 핵심은 미래 역량 함양이다. 교육부는 특히 △생태전환 교육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소양 △민주시민 교육 등 기초소양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기존의 ‘3R(읽기·쓰기·셈하기)’를 벗어나 여러 교과를 학습하는 데 기반이 되는 언어와 수리, 디지털 역량 등을 기초소양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지역과 학교 수준에서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시도교육청,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하기로 했다. 교육과정 구성 단계부터 선택과목,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학교 밖 학습경험 인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맞춤형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부는 학교급별 교육과정도 개선하기로 했다. 초등학교는 발달수준을 고려해 놀이 연계 학습, 놀이 중심의 공간 혁신 지원 등이 이뤄진다. 중학교는 서술·논술형 평가 확대 등 교실 수업 개선과 자유학기 활동을 연계한 프로그램 개선 등이 추진된다.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을 토대로 학생 개개인이 자기주도적으로 진로와 학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과목 구조를 개편한다.

◆교실·교과서도 미래형으로

교육과정 개편과 맞물려 교실도 다양한 학습과 융합적 경험이 가능한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한다. 가변형 벽체나 폴딩도어 등을 활용한 공간의 통합·분리를 통해 크기와 용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식이다.

학교에는 생태교육 공간도 마련한다. 학교 텃밭이나 실내정원, 연못 등을 배치해 텃밭 가꾸기 수업이나 안전한 먹거리 교육, 수생생태계 관찰학습 등 체험하며 공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한다. 에너지 생산량과 탄소 저감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판 등 장치를 공용공간에 설치해 환경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시설도 적용할 계획이다.

교과서에도 변화가 생긴다. 교육부는 급변하는 사회에 따른 교육현장 요구와 학습상황에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온·오프 연계 등 다양한 형식의 교과서를 추진한다. 고정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서책형 교과서에서 벗어나 실시간으로 지식과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온라인 연계 교과서를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최신 지식과 기술을 교과서에 반영할 수 있도록 범부처 협업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과서 개발과 제공 방식을 다양화하고 학교 여건에 따라 자율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며 “온라인 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