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이 없는 '인생'..예술의 문을 열다
지난해 한예종 정년 퇴임 후
30년 작가 인생 정리해 회고전
보이지 않는 이면에 진실 있다
시인이 단어 골라 시를 쓰듯
사물을 재배치해 미술품으로
이곳에서 만난 현대미술가 안규철(66)은 "내 자화상 같은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이 설치 작품 제목은 '무명작가를 위한 다섯 개의 질문Ⅱ'로 1991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학교 재학 시절 처음 만들었다. 미술잡지 '계간미술' 기자를 그만두고 평범한 삶으로부터 떠나와 돌아갈 수 없는 상태를 손잡이가 없는 문으로, 예술의 세계로 들어가려면 다섯 가지 어려운 질문에 답해야 하는 시험에 든 상태를 다섯 개 손잡이 문으로 표현했다. 그 질문은 '예술은 인생보다 중요하냐' '당신은 언제 예술가인가' '무얼 하길래 예술가인가' '한 번 예술가이면 죽을 때까지 해야 하나' '매 순간 예술가인가' '예술은 돈인가' 등으로 끊임없이 이어졌다. 작가는 "예술과 인생 사이 어중간한 상태에 있는 무명 작가로서 내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두 문 사이에 놓인 나무의자가 바로 무명 작가 시절 그를 대변한다. 의자 한쪽 다리만 길고 화분에 꽂혀 있다. 작가는 "의자를 다시 살아있는 나무로 키우는 게 불가능한 것처럼 어려운 게 예술"이라며 "삶에서 떠나와 예술과 관련해서 뭘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내 상태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으로 의자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30여 년 작가 여정을 보여주는 회고전 제목을 '사물의 뒷모습'으로 정한 이유는 뭘까. 그는 "진실은 사물의 표면보다 보이지 않는 이면에 숨어있다"고 했다. 일상과 주변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은 글을 매일 쓰고 생각을 모아 미술 작품을 만들어낸다. 이번 회고전에 설치, 회화, 드로잉 작품 40여 점을 펼쳤다. 서로를 밟고 있는 구두 세 켤레를 둥글 게 이은 작품 '2/3 사회 Ⅱ'는 사회의 본질을 탁월하게 표현했다. 우리는 싫든 좋든 주변인과 엮여야 하고 때로는 누군가를 딛고 일어서지만 또 다른 사람에게 밟히기도 한다.
2012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선보였던 회화 '그들이 떠난 곳에서-바다'도 다시 만날 수 있다. 당시 작가는 캔버스 200개에 그린 바다 그림을 광주 시내 곳곳에 배치한 후 전시 기간 내내 '그림을 찾습니다'라는 공고를 지역 신문에 냈다. 이때 작가에게 다시 돌아온 그림은 20점 남짓이었고,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에는 작품 대부분이 '실종'된 상태로 전시됐다. 그는 "돌아오지 않은 그림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실종자라고 생각했다. 어딘가에서 유령처럼 떠돌고 있을 것 같은…"이라고 했다.
단어를 조합해 시를 쓰는 것처럼 사물을 골라 시적인 미술 작품을 만들고 있다. 전시는 7월 4일까지.
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깊이 있는 미술·문화재 기사를 신속하게 받아보려면 #네이버 기자페이지를 구독해주세요.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좀비에 맞선 인간의 반격…잭 스나이더가 돌아왔다
- [연극 리뷰] `빈센트 리버`, 우리 모두는 혐오의 피해자이자 공범자
- 손잡이 없는 `인생`…예술의 문을 열다
- 떡볶이 좋아하는 17살 소녀 "사랑연기, 아직은 어색해요"
- 그 어떤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을 가치는 무엇인가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스멀스멀 떠오르는 엔비디아 ‘저평가론’
- “가상 부부의 인연에서 진짜 우정으로”… 김소은, 눈물 속 故 송재림 배웅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