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백신 생산국' 인도는 어쩌다 '코로나 지옥' 됐나 [세계는 지금]
전국서 온 수백만명 뒤엉켰다가 흩어져
감염 급속 확산.. 하루 사망자 4000명 '훌쩍'
화장장 모자라 주차장·공원·공터 등 활용
지구촌 신규 환자 2명 중 1명은 인도인
치료제 암시장에서 8∼20배 값에 거래
모디 총리 주변 예스맨만.. 각종 경고 무시
정부, 1차유행 진정에 샴페인 일찍 터트려
각종 봉쇄 완화하자 국민 경각심도 풀려
세계 최대 백신생산국 불구 1차 접종 10%
5월 지방의회선거 2차 유행 뇌관 지목
마스크 쓰지 않은 수천명 유세장에 몰려
전국 각지에서 온 수백만 명이 한데 뒤엉켰다가 다시 뿔뿔이 흩어진 셈이었다. 이는 코로나19 환자·사망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지난 12일 하루 사망자만 4120명. 인도는 지금 화장장이 모자라 주차장, 공원, 공터 등 곳곳에 임시 화장터를 설치할 정도다.
◆1차 유행 진정세에 섣부른 낙관론
올 초만 해도 인도의 코로나19 상황은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었다. 한때 10만명 가까이 치솟았던 일일 확진자 수가 올 2월 1만명 안팎까지 떨어졌고, 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급감했다. 현지 언론들은 “50분의 1 인구인 미국 뉴욕주와 감염자 수가 비슷해졌다”며 반색했다. 빈민가·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미 집단면역이 형성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기간 2차 파도의 물결이 일었다. 확진자 수가 점점 늘더니 4월 초 전 세계 하루 확진자의 4분의 1가량이 인도에서 나왔다. 이 숫자마저도 과소집계됐다는 평가가 많다. 인도 보팔시는 지난달 중순 13일 동안 41명의 코로나19 사망자가 나왔다고 발표했지만, 뉴욕타임스(NYT)는 이곳 화장터와 매장지를 취재해 이 기간 1000명 넘게 숨진 사실을 확인했다. 구자라트주의 한 화장터 직원은 유족에게 전달하는 서류에 사인을 ‘질병’으로만 적는다며 “상사로부터 그렇게 지시받았다”고 했다.
지나친 낙관론과 재유행 대비 소홀 등 정부의 실책은 열악한 인도 공중보건 체계와 결합해 재앙적 결과로 나타났다.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현재 인도는 의료용 산소와 병상, 렘데시비르·토실리주맙 등 치료제가 부족해 개개인이 암시장에서 8∼20배 이상 가격에 사들이는 실정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산소와 치료제를 미리 확보해둔 남부 케랄라주가 사망자 발생을 비교적 잘 억제하고 있는 점을 보면 통탄이 나오는 대목이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산소 제조 공장 162곳 신설 계획을 발표했지만 지난달 현재 33곳만 지어졌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지적했다. 마하슈트라주의 한 공장장은 WP에 “당국에 생산시설을 확충할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보조금 지원이 없었다”며 ‘목이 마르기 전에 우물을 파라’는 속담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최근 알라하바드 고등법원은 코로나19 환자 2명이 숨진 사건과 관련해 “의료용 액화산소의 안정적 공급을 책임진 자들에 의해 자행된, 집단학살에 준하는 범죄 행위”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모디 총리는 지난 2일 선거에서 사실상 심판을 받았다. 5곳 지방의회 선거 결과 집권 BJP가 동북부 작은 주인 아삼주와 연방 직할지 푸두체리에서만 승리한 것이다. 최대 승부처 웨스트벵골주에서는 주의회 총 294석 가운데 213석이 지역정당에 넘어갔고 BJP는 77석 확보에 그쳤다.
변이 바이러스가 인도 내 급격한 확산의 핵심 요인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이 지난 2월 중순에야 본격화한 탓이다. 지금까지는 펀자브주에서 영국발 변이(B117)가 기승을 부렸고, 두 가지 변이가 한꺼번에 나타나 감염력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중 변이(B1617)가 18개주에서 나타났다는 점이 확인됐다.
비제이 라하반 인도 정부 수석과학고문은 지난 5일 “인도의 높은 확산 수준은 3차 유행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현재의) 2차 유행이 진정되더라도 면역 회피력과 전염력이 더 강한 새로운 변이가 인도에서 출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반대로 세계 최대 백신 생산국인 인도는 백신 민족주의를 강화했다. 수출 물량을 틀어쥐고 접종 대상을 모든 성인으로 확대했다. 그런데도 13일 현재 인도의 백신 1차 접종률은 10.0%, 2차 접종률은 2.7%에 그친다. 국제 백신 공유 프로젝트 코백스를 통한 빈국 백신 지원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