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을 받아주오'.. 쇠제비갈매기의 눈물겨운 구애[청계천 옆 사진관]

박영대 기자 2021. 5. 15. 1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싹들이 기지개를 켜는 봄, 짝짓기에 나선 새들의 노랫소리와 바빠진 날갯짓으로 산과 들은 들썩입니다.

경기 남양주시 왕숙천에도 수컷 쇠제비갈매기의 구애가 한창입니다.

때맞춰 쇠제비갈매기는 번식에 들어갑니다.

수컷이 마음에 들면 암컷은 옆걸음으로 수컷에 다가가 몸을 낮추어 수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 남양주시 왕숙천에서 쇠제비갈매기의 구애과정이 카메라에 잡혔다. 수컷 쇠제비갈매기가 물고기로 암컷에게 포로포즈를 하고 있다. 2021.4. 23.
새싹들이 기지개를 켜는 봄, 짝짓기에 나선 새들의 노랫소리와 바빠진 날갯짓으로 산과 들은 들썩입니다.

경기 남양주시 왕숙천에도 수컷 쇠제비갈매기의 구애가 한창입니다. 해마다 이맘때면 알에서 깬 작은 물고기가 얕은 물속에 바글바글합니다. 때맞춰 쇠제비갈매기는 번식에 들어갑니다.

수컷이 건네는 물고기를 암컷이 받아 먹고 있다. 2021.4. 23.
수컷이 여러번의 물고기 선물 끝에 근처 보에서 짝짓기에 성공하고 있다. 2021.4. 23.

작은 물고기는 이들의 주식이지만 사랑을 얻는 데도 필요합니다. 암컷의 환심을 사려면 수컷은 열심히 사냥을 해 물고기를 바쳐야 합니다. 암컷은 수컷을 고를 때 사냥 능력을 봅니다. 인간처럼 음식을 쌓아놓고 먹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니 그때그때 먹여 살릴 능력이 되는지를 보는 셈입니다.

물가에 솟아오른 얕은 바윗돌에 자리를 잡은 암컷은 부리로 깃털을 다듬으며 몸단장을 합니다. 암컷은 몸단장만 할 뿐 사냥을 하지 않습니다.

수컷은 수면 위를 오르락내리락하며 먹잇감을 찾습니다. 사냥에 성공하면 쏜살같이 암컷에게 날아가 물고기를 건네며 구애를 합니다. 새벽부터 저녁까지 하루 온종일 계속 먹이를 잡아 바칩니다. 능력이 없거나 재수가 없는 수컷은 하루 만에 끝나지 않을 수도 있고 물고기만 선물하고 버림을 받기도 합니다. 수컷이 마음에 들면 암컷은 옆걸음으로 수컷에 다가가 몸을 낮추어 수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경기 남양주시 왕숙천에 수컷 쇠제비갈매기가 암컷에게 잡은 물고기를 수컷에게 주고 짝짓기에 성공하고 있다. 2014.4.18. 생태사진가 전창열씨 제공.

쇠제비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제비를 닮은 갈매기로 갈매기 종류 중 가장 크기가 작다는 의미의 쇠(衰)자를 붙여 쇠제비갈매기(little tern)로 불립니다. 이 새는 바닷가 자갈밭이나 강가 모래밭에서 둥지를 틀어 4월 하순에서 7월까지 2~3개의 알을 낳습니다. 8월에서 9월 사이 호주와 필리핀 등으로 이동해 겨울을 납니다.

글·사진=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