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 위탁생산..'백신 원액 받아 완제품 출하' 가능성

윤영탁 기자 2021. 5. 14. 20: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삼성 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을 위탁 생산하게 될 거라고 어제(13일) 전해 드린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또 언제부터 만들 수 있을지가 관심입니다. 업계에선 원료를 받아 완제품을 만드는 방식으로, 8월부턴 생산이 가능할 걸로 보고 있습니다.

윤영탁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하기 위해선 크게 두 단계의 제조 공정을 거쳐야합니다.

먼저 백신의 원액을 만드는 공정이 있습니다.

원액을 병에 넣어 포장하는 완제품을 만드는 과정도 필요합니다.

'필 엔드 피니시(fill & finish)'로 불리는 완제품 공정입니다.

지난해 7월 아스트라제네카와 위탁생산 계약을 맺은 SK바이오사이언스는 원액 제조부터 포장까지 전 과정을 맡고 있습니다.

그러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직 모든 공정을 할 수 있는 백신 생산 설비가 없습니다.

그동안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등에 집중해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완제품 공정을 맡을 거란 관측이 우세합니다.

모더나에서 백신 원료 물질에 캡슐 처리까지 끝낸 원액을 받아 병에 넣고 포장하는 두 번째 단계만 맡는 겁니다.

핵심 기술 이전을 꺼리는 모더나사는 원료를 미국과 스위스 자체 공장에서만 생산합니다.

실제로 미국과 스페인, 프랑스 등 위탁생산 공장에선 완제품 공정만 맡고 있습니다.

이걸 하기 위한 설비를 갖추고 인증을 받는데만도 적어도 6개월은 걸립니다.

이미 삼성 바이오로직스는 8월 생산에 맞춰 라인 교체 등 준비를 하고 있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모더나가 국내에 자회사 설립을 완료하면 협력 범위는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삼성바이오 측은 공시를 통해 "확정된 바 없다"면서도 "확인이 가능한 시점이나 한 달 안에 재공시 하겠다"고만 밝혔습니다.

구체적인 윤곽은 다음주 한미정상회담 전후로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디자인 : 신재훈 / 영상그래픽 : 김정은)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