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레테 콰르텟, 프라하의 봄 국제콩쿠르 우승 및 특별상 5개 석권

문학수 선임기자 2021. 5. 14. 14: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현악사중주단 ‘아레테 스트링 콰르텟(Arete String Quartet)’이 체코 프라하의 드보르작홀에서 13일(한국시간 5월 14일 새벽) 열린 제72회 ‘프라하의 봄 국제음악콩쿠르’ 현악사중주 부문에서 우승 및 5개의 특별상을 석권했다.

한국 출신 현악사중주단이 이 콩쿠르에서 1위를 수상한 것은 처음이다. 체코가 아닌 다른 나라의 현악사중주단이 심사위원상, 프라하 도시상 등 특별상을 5개나 석권한 경우는 전무했으며 앞으로도 나오기 어려운 사례로 보인다.

아레테 스트링 콰르텟의 한국 소속사인 MOC프로덕션은 이날 이같은 소식을 전했다. 같은 날 금호문화재단도 “금호영체임버 출신의 아레테 스트링 콰르텟이 1위와 특별상 5개를 수상했다”고 알렸다. 2위 수상자는 없으며, 3위는 오스트리아의 젤리니 콰르텟과 체코의 쿠갈 콰르텟이 공동 수상했다.

‘프라하의 봄 국제음악콩쿠르’는 지휘자 라파엘 쿠벨릭(1914~1996)과 체코 필하모닉의 멤버들이 1946년 창설한 콩쿠르다. 역대 수상자로는 첼리스트 로스트로포비치(1950), 플루티스트 제임스 골웨이(1968) 등이 있으며 한국 출신 연주자로는 플루티스트 김유빈(2015), 클라리네티스트 김상윤(2015), 피아니스트 박진형(2016), 플루티스트 유채연(2019) 등이 있다.

이 콩쿠르는 해마다 부문을 바꿔 치러지는데, 현악사중주 부문이 열린 것은 무려 16년만이다. 그래서 아레테 스트링 콰르텟의 이번 수상이 한층 의미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6년 전 우승팀은 현재 세계 최정상급의 현악사중주단으로 손꼽히는 파벨 하스 콰르텟이었다. 2위는 지겐 콰르텟이었는데, 당시 이 팀의 바이올리니스트가 한국 출신의 김재영이었다. 그는 현재 국제 무대에서 주목받는 한국의 현악사중주단 노부스 콰르텟의 바이올리니스트로 활약중이다.

2019년 9월 창단한 아레테 스트링 콰르텟은 바이올리니스트 전채안(24)과 김동휘(26), 비올리스트 장윤선(26), 첼리스트 박성현(28·리더)으로 이뤄졌다. 2020년 9월 금호영체임버콘서트를 통해 데뷔했다. 현재 독일의 뮌헨 국립음대에서 크리스토프 포펜에게 수학하고 있다. 또 노부스 콰르텟의 바이올리니스트 김재영에게 지난 2년간 집중 레슨을 받았다. 김재영은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16년 전 내가 연주했던 드보르작홀의 그 무대에서, 이번에는 제자들이 열정적으로 연주하는 모습을 밤새 지켜봤다”면서 “처음으로 가르친 사중주단에게 이렇게 좋은 일이 생겨 말할 수 없이 기쁘다”고 말했다.

아레테 스트링 콰르텟은 1위 상금 50만코루나(약 2670만원)와 특별상 상금 10만코루나(약 535만원)을 받았다. 2022년 프라하 봄 국제 음악 페스티벌에 초청받아 연주할 예정이다. 올해 프라하의 봄 국제콩쿠르는 현악사중주와 피아노 부문에서 개최됐다. 14일 저녁(현지시간) 열리는 피아노 부문 결선에는 한국의 이동하와 이재영이 진출해 있다.

아레테 스트링 콰르텟 | MOC프로덕션 제공

문학수 선임기자 sachim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