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민들 "국토부는 위에서 툭 떨어진 창릉신도시 발언 해명하라"

정진욱 기자 2021. 5. 14. 13: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부 직원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노선과 관련해 한 민원인과 대화한 녹음본이 공개되면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시민연대는 "국토부 직원과 민원인의 대화를 들어보면 '철도를 깔아주는 것은 국토부 자율재량이다', '창릉신도시도 원래 GTX 포함 안 되어 있었고 우리도 몰랐다. 그런데 갑자기 위에서 뚝 떨어져 온 것이다', '철도는 국민이 동등하게 누려야 할 복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며 "국토부는 이번 사건 발생 후 반나절도 안돼 급히 해명자료를 보냈지만, 창릉신도시 발언에 대한 답변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전경.© 뉴스1

(김포·세종=뉴스1) 정진욱 기자 = 국토부 직원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노선과 관련해 한 민원인과 대화한 녹음본이 공개되면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국토부 직원은 민원인과의 대화에서 민원 대응 태도도 도마에 올랐지만, 경기 김포, 인천 검단 지역 주민들은 국토부 직원의 창릉신도시 발언에 문제를 삼았다.

14일 김포검단교통시민연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토부 직원과 통화한 민원인은 "만들어지지 않은 3기 신도시는 지하철을 깔아주는데 노무현 대통령때 만든 신도시는 지하철 하나 안 만들어 준다게 말이 되냐"고 질문했다.

이에 국토부 직원은 "창릉신도시는 원래 GTX에 포함이 안됐는데 대도시권 광역특별법에 의해 우리(국토부)부서도 모르게 갑자기 위에서 툭 튀어나왔다"고 말했다.

국토부의 창릉신도시 발언을 두고 김포검단교통시민연대는 정부가 국토부를 대상으로 투기 의혹을 조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민연대는 "국토부 직원과 민원인의 대화를 들어보면 '철도를 깔아주는 것은 국토부 자율재량이다', '창릉신도시도 원래 GTX 포함 안 되어 있었고 우리도 몰랐다. 그런데 갑자기 위에서 뚝 떨어져 온 것이다', '철도는 국민이 동등하게 누려야 할 복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며 "국토부는 이번 사건 발생 후 반나절도 안돼 급히 해명자료를 보냈지만, 창릉신도시 발언에 대한 답변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포시 선출직인 정하영 김포시장과 김주영, 박상혁 민주당 의원은 김포 시민이 국토부 공무원에게 능욕을 당했는데, 가만히 있냐"며 "정 시장과 의원들은 정부와 국토부의 지역 차별 속에 생업을 뒤로하고 싸우고 있는 48만 김포시민에게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연대는 또 "정하영 시장과 김주영, 박상혁 의원은 국토부 직원 '창릉 툭' 발언과 관련해 납득할 만한 답변을 가져와야 한다"며 "GTX-D원안과 지하철 5호선이 제4차 국토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될때까지 불공정과 차별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창릉신도시 발언에 대해 "창릉신도시는 적법한 절차에 의해 추진하는 사업"이라며 "LH가 사업비를 부담한다고해 진행하는 사업이다. 당시 직원 발언은 GTX-A사업과 별도로 신도시 광역 교통대책으로 들어온 것을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인천 검단·경기 김포 시민들로 구성된 김포검단교통시민연대가 9일 김포시 장기동 라베니체에서 'GTX-D서울직결·5호선 김포연장 풍선 챌린지'를 하고 있다. 2021.5.9/뉴스1 © News1 정진욱 기자

앞서 13일 김포의 한 커뮤니티 카페에는 'GTX-D관련 국토부 민원 담당 주무관의 잘못된 현실인식과 응대 태도'라는 제목의 글과 국토부 직원과 민원인이 통화를 한 음성녹음이 게시됐다.

국토부 직원은 민원인에게 "GTX-D 공청회는 립서비스다. 확정 고시가 나오는 6월에 보고 법적 절차를 밟아라. 행정소송이나 헌법재판소 가서 헌법소송 하면 된다. 행정소송을 하셔도 비싼 변호사 쓰셔야 한다. 행정소송을 해도 '입구 컷'당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하며 민원 대응 태도가 도마에 올랐다.

직원 대응 논란에 국토부는 해당 공무원을 업무에서 즉시 배제하고, 발언 내용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gut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