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석의 실전투자]계약 뒤 생긴 하자엔 담보책임 못물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도권 소재 3층짜리 상가주택을 매입한 직장인 A 씨는 최근 옥상에서 빗물이 새는 걸 뒤늦게 발견했다.
이전 건물주는 매매 계약 당시 빗물이 샌다는 걸 알리지 않았고 A 씨는 잔금 지급 시점까지 이런 하자를 알지 못했다.
A 씨처럼 계약 당시 하자를 전혀 알지 못한 경우라면 옥상에서 빗물이 새는 하자가 계약 이전부터 있었다는 사실만 입증하면 매도인에게 수리비를 배상받을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상책임 물어 수리비 요구 가능.. 하자 심해 구입 안했을정도면
매수계약 해제도 요구 가능해.. 신규분양땐 사업주체 보수 의무
타일-도배 2년, 주요부 하자 10년
이처럼 부동산 거래 시 매매 대상인 건물에 하자가 있다면 매도인은 담보책임을 져야 한다. 담보책임은 크게 ‘권리에 대한 하자’와 ‘물건에 대한 하자’로 나눌 수 있다. 권리에 대한 하자는 건물에 지상권이나 전세권, 질권, 유치권 등이 설정된 경우를 가리킨다. 매수인이 이를 알지 못하고 계약을 체결했고, 이후 계약 목적인 소유권 취득을 할 수 없다면 매수인은 계약은 해제하고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A 씨 사례처럼 건물에 빗물이 새는 등 물건에 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하자 담보책임은 매수인을 보호하고 거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정책임이다. 기본적으로 ‘무과실책임’이다. 매도인이 고의나 과실이 없더라도 하자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매수인 과실로 계약 당시 건물에 하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면 매도인에게 담보책임을 물을 수 없다. 이 경우 매수인 과실 여부를 입증해야 하는 책임은 매도인에게 있다. 또 매수인이 계약 당시 하자를 알고 있었다면 이때에도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즉 매수인은 계약 당시 하자가 있는지 전혀 몰랐다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 셈이다.
매수인이 하자에 대한 손해배상을 못 받는 경우는 더 있다. 매매 계약을 체결한 이후 생긴 하자에 대해선 매도인에게 담보책임을 물을 수 없다. 담보책임은 계약 체결 이전에 생긴 하자에 대해서만 인정되기 때문이다. A 씨처럼 계약 당시 하자를 전혀 알지 못한 경우라면 옥상에서 빗물이 새는 하자가 계약 이전부터 있었다는 사실만 입증하면 매도인에게 수리비를 배상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새로 분양받은 아파트나 건물에서 하자가 생긴 경우 시공사나 시행사 등 사업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책임지고 보수해줘야 한다. 하자 종류에 따라 하자담보 책임기간이 다르다. 예컨대 타일이나 도배 등 마감에 문제가 있는 경우 하자담보 책임기간은 2년이다. 건물 안전과 직결되는 주요 구조부에 대한 하자는 사업주체가 10년간 책임지고 보수해야 한다. 신축 아파트 입주민과 사업주체 간 하자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른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받을 수 있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규원 SOS’에 조국 구명전화…박상기 “나까지 조사할거냐”
- 한발 물러선 文…김부겸-송영길 비주류 ‘투톱’ 전면에
- [단독]美 모더나 백신, 국내 위탁생산 구체화
- 돌연 비트코인 결제 중단한 머스크…“에너지 사용 미쳤다” 거듭 강조
- “숫자놀음하는 자리 아냐” “野존재 거부하는 폭거”…강대강 충돌
- “남는 백신 우리부터”…해외 거주 미국인들 뿔났다
- 소비자물가 3% 웃돌수도? 인플레 우려에…정부 “과민반응 불필요”
- 국과수 “한강 의대생 익사 추정”…경찰 “오전 3시38분 마지막 목격”
- 여중생 2명 극단적 선택…성폭력-아동학대 피해자였다
- 킥보드 규제 첫날, 시민 대부분 안전모 없거나 인도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