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까지 안 가도 돼요".. 충주에서 심뇌혈관 협진

이유진 2021. 5. 13. 21: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청주]
[앵커]

충주와 서울의 공공병원이 심혈관과 뇌혈관 협진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더욱 정확한 처방과 치료, 그리고 의료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유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최근, 가슴 통증이 심해진 60대 고혈압 환자가 병원을 찾았습니다.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협심증이 의심되는 상황.

의사 두 명이 엑스레이 사진을 보면서 환자 상태를 꼼꼼히 확인합니다.

충청북도 산하 충주의료원과, 서울대병원이 위탁 운영하는 서울시 보라매병원의 심뇌혈관 질환 전문의들입니다.

[윤성규/충주의료원 순환기내과장 : "제대로 된 치료를 하지 않으신 상태에서 외래를 오셨고, (혈관이) 70~80% 이상 좁아져 있으면 (수술할 예정입니다)."]

2019년 기준, 충북의 사망자 5명 가운데 1명은 심뇌혈관 질환자였습니다.

증상이 나타난 지 3시간 안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목숨을 위협할 만큼 치명적입니다.

하지만 충주의료원에는 담당 의사가 한 명뿐이라, 지역 중증 환자 대부분 수도권에서 치료를 받아야 했습니다.

이런 의료 격차를 줄이기 위해 두 공공병원이 협진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한 달에 2번 이상 서울 의료진이 충주에서 진료하고, 치료 경과를 수시로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김종수/충주의료원장 : "시간이 지체돼서 사망률도 높고, 후유장해를 겪는 경우가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가 많이 해소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두 공공병원은 아울러 소화기내과, 정형외과 등까지 협진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윤진모

이유진 기자 (reasontrue@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