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공포에 뉴욕증시도 '털썩'..美 연준 "통화 긴축은 시기상조"

오정인 기자 2021. 5. 13. 18:1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우리 증시를 뒤흔든 배경에는 미국발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지난밤 미국 뉴욕증시 역시 인플레 우려에 휘청였는데요.

다우지수는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 시점이 빨라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지만 중앙은행인 연준은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보도에 오정인 기자입니다. 

[기자]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말 그대로 패닉에 빠졌습니다.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자 금리인상 우려가 투자심리를 덮친 겁니다. 

실제로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급등했습니다.

2008년 9월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황세운 /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 현재 주가 상승의 중요한 원인이었던 유동성 공급의 방향성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뉴욕 주가가 많이 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던 거죠.]

여기에 인도의 코로나19 대확산 이슈도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애플과 관련주, 반도체와 아웃소싱 중심의 소프트웨어 종목들이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서상영 /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센터 팀장 : 대부분 인도의 코로나19로 인해 공장이 멈춘 것 때문이에요. 미국 연구기관들의 경우 5월 초가 인도의 신규 확진자 피크다, 사망자는 5월 중후반(을 정점으로 봐요.) 인도 이슈도 어느 정도 이제 안정을 찾을 수밖에 없어요.]

코로나19 기저효과로 다음 달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예상을 크게 상회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미 연준은 아직은 통화 긴축을 논의할 때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본격화 우려와 일시적 충격이라는 논쟁 격화로 당분간 변동성은 커질 전망입니다. 

SBS Biz 오정인입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