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로켓 성장' 했지만 적자도 3배 늘었다

김기정,문가영 2021. 5. 13. 1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상장 후 첫 실적 발표
1분기 매출 4.7조원 역대 최대
주식 보상·투자·고용 비용탓에
영업손실 3321억원으로 늘어
김범석 "아직 성장 초기일뿐"
주가, 시초가 절반도 안되지만
성장 빨라 "주가 저점" 분석도
지난 3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후 첫 실적을 발표한 쿠팡이 역대 최대 1분기 매출을 올리며 '로켓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플랫폼 경쟁을 벌이고 있는 네이버, 카카오에 비해 압도적인 매출 신장세가 주목된다. 다만 적자도 함께 커졌다.

쿠팡은 13일 올 1분기 매출이 42억686만달러(약 4조7348억원)로 지난해 동기보다 7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이다. 이 같은 매출 신장세는 네이버, 카카오와 비교해도 압도적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1분기 매출이 1조4991억원과 1조25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9.8%, 44.8% 상승했다.

쿠팡의 분기 매출이 5조원에 육박할 수 있었던 이유는 쿠팡 이용자와 고객 1인당 구매 금액이 동시에 늘어났기 때문이다. 활성고객 수는 1603만여 명으로 21% 늘었다. 활성고객 1인당 매출은 262달러(약 29만4800원)로 지난해 1분기 182달러(약 20만4800원)보다 44% 늘어났다.

그러나 영업손실도 2억9500만여 달러(약 3321억원)로 적자 폭이 작년 1분기(1억535만달러)의 3배 규모가 됐다. 쿠팡은 8700만달러(약 979억원) 규모의 일회성 주식 보상 비용이 반영되고 투자와 고용 증가에 따라 관리 비용도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이날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쿠팡은 성장 주기(growth cycle)의 초기 단계에 있다"며 쿠팡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또 "내년에 전국적으로 쿠팡의 손길이 닿는 범위를 50% 이상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해외 진출 가능성에 대해 "매력적인 기회를 찾으면 검토하고 추구할 것"이라고 답했다.

상장 후 한때 69달러까지 치솟았던 쿠팡 주가는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날 쿠팡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54% 하락한 35.33달러에 마감해 공모가(35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는 상장일인 3월 11일 시초가 63.5달러 대비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진 수준이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쿠팡의 외형 성장세가 글로벌 이커머스 그룹 내 단연 선두권이고, 비즈니스 모델의 차별성이 명확한 만큼 현재 주가를 기업 본질 가치의 저점으로 추정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5월 18일 1.5%, 6월 9일 7.5%, 9월 7일 잔여 지분(약 83%)의 보호예수가 해제되는 만큼 매도 물량이 나올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쿠팡은 시장점유율이 아직 14% 정도로 성장 여력이 높고, 한국 온라인 유통시장 패권을 잡아가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시장점유율 50%와 영업이익률 5%를 달성할 것으로 가정하고 주가수익비율(PER) 30배를 적용하면 적정 주가는 39달러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기정 기자 / 문가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