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K 2021] 러셀 바로 애버딘스탠더드 대채투자 대표 "헤지펀드 인덱스, 패시브 투자 주목"

2021. 5. 12. 19: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05월 12일 16:29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헤지펀드 인덱스에 대한 패시브 투자는 채권투자와 헤지펀드 투자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권투자 대체수단 충분
이 기사는 05월 12일 16:29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05월12일(16:2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헤지펀드 인덱스에 대한 패시브 투자는 채권투자와 헤지펀드 투자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애버딘스탠더드인베스트먼트의 러셀 바로 대체투자전략 글로벌 대표는 12일 ‘ASK 2021 글로벌 대체투자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인덱스 투자를 통해 헤지펀드가 갖는 높은 수익률을 취하고 포트폴리오 전체의 리스크는 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애버딘스탠더드인베스트먼트는 세계 각지에서 4647억파운드(약 737조원) 규모의 자산을 굴리는 글로벌 자산운용사다.

바로 대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투자의 ‘정석’처럼 여겨졌던 주식에 60%, 채권에 40%를 배분하는 ‘6 대 4’ 자산배분 방식은 이제 유효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는 “저금리 국면이 길어지면서 최근 5년 만기 미 국채의 평균적인(롤링) 수익률은 이제 연 2%대로 떨어졌다”며 “채권 수익률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바로 대표는 “하지만 마땅한 채권 대체자산을 찾기 힘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금, 듀레이션이 긴 장기채, 투자등급 채권 등 전통적인 방어 자산들마저 주식(나스닥)과의 상관관계가 플러스(+)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그는 대안으로 헤지펀드 인덱스에 대한 투자를 제시했다. 그는 “헤지펀드는 일반적으로 전통자산의 대체자산으로 뭉뚱그려 간주되지만 실제로는 전략이나 펀드에 따라 수익·리스크 특성이 천차만별”이라며 “헤지펀드 인덱스에 대한 패시브 투자를 통해 변동성은 채권 수준으로 낮추고, 헤지펀드가 추구하는 절대수익에 근접하는 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애버딘스탠더드에 따르면 주요 헤지펀드를 모아놓은 HFRI500펀드종합지수는 2004년 이후 매년 연간 5%의 절대 수익 기준선에서 벗어나지 않는 안정적 수익을 거둬왔다. 그는 “주식과의 상관관계가 낮은 헤지펀드 인덱스 투자를 통해 포트폴리오는 다변화하고, 펀드 선택의 리스크는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변화, 단순함, 입증된 수익력, 규모의 경제가 헤지펀드 인덱스 투자의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