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K 2021]포모나캐피털 "'세컨더리 투자' 시장, 올해 사상 최대 찍는다"

2021. 5. 12. 19: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05월 12일 14:43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세컨더리 시장은 시장 규모나 타이밍보다 양질의 자산이 얼마나 존재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지난 10년간 사모 주식시장의 성장으로 양질의 자산도 증가해 올해 세컨더리 투자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달성하게 될 것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05월 12일 14:43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05월12일(14:4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세컨더리 시장은 시장 규모나 타이밍보다 양질의 자산이 얼마나 존재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지난 10년간 사모 주식시장의 성장으로 양질의 자산도 증가해 올해 세컨더리 투자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달성하게 될 것입니다.”

‘세컨더리 펀드의 강자’ 마이클 그래노프 포모나캐피털 사장은 12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한국경제신문이 개최한 ‘ASK2021’에서 ‘세컨더리의 진화’ 연사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그래노프 사장은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지난 10년간 사모펀드 시장 규모가 위기 이전에 비해 2.5배 이상 커지면서 세컨더리 시장도 성장했다“며 ”지금 사모 분야에서 세컨더리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 트렌드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세컨더리 투자가 주목받는데 대해 ”사모 시장 초기만 해도 펀드를 만든 뒤 자금을 곧바로 소진했는데, 아무리 투자를 잘해도 대기 자금이 쌓이기 때문에 수익 실현까지는 상당 시간이 걸리다보니 수익성이 떨어졌다“며 ”지금은 모든 투자자들이 자본 효율성을 높이려는 경향이 커졌다. 세컨더리 투자는 자금을 필요로 할 때마다 요청한 뒤 바로 기업에 투자해 자본 효율성도 높이고 투자자 수익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 팬데믹 현상 이후 글로벌 기관투자자(LP), 위탁운용사(GP) 모두 수익 실현을 가장 중요시 여기면서 빠르게 수익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세컨더리 투자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래노프 사장은 세컨더리 투자 전략에 대해 “세컨더리 시장에서는 지금 거래되는 자산을 바로 사는게 아니라, 통상 5~7년이 지나 해당 자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취합한 뒤 투자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밍보다는 시장 효율성, 공정한 경쟁 환경이 중요하다”며 ”살 만한 양질의 자산이 시장에 나와있는지를 위주로 검토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시장 가격보다 낮게 평균 이상의 좋은 자산을 살 수 있는 가치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세컨더리 투자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들어 사모대출 세컨더리 시장이 활성화되는 트렌드도 나타났다고 분석도 있었다. 매튜 샤브란 티케하우캐피탈 공동 창업자는 “사모대출 시장은 지난 12년간 크게 성장해왔다. 집행된 자금만 1조유로(약 1360조원)“이라며 ”사모대출 세컨더리의 경우 수년간 이뤄졌던 자산 배분의 혜택을 받으면서 수혜를 입으면서 시장 규모도 같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