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은 마음으로 보는 예술..안 보이는 눈에 방해 안받아

김유태 2021. 5. 12. 17: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엄정순 '우리들의 눈' 재단 대표
시력잃어 앞 못보는 학생들과
1996년부터 예술 협업
'코끼리 만지기' 프로젝트 등
무한한 예술적 잠재력 확인
미대 진학·전문작가 나와
#1 '옅어지는 파란색 배경에 흰색 소문자 에프(f)가 오른쪽 하단에 치우쳐 그려져 있다.'(페이스북)

#2 '모서리가 둥그런 빨간색 직사각형에 오른쪽을 향해 돌려진 하얀색 삼각형이 그려져 있다.'(유튜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아이콘 형상을 설명한 글이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무심하게 누르는 아이콘이지만 앞 못 보는 이에게는 뿌옇거나 옅게 보인다. 시각예술가 엄정순 작가(사진)는 시각장애 학생과 함께 예술을 탐구하는 아트랩(Art Lab) 비영리 재단 '우리들의 눈'을 운영해왔다. 서울 인사동 예술공간 코트(KOTE)에서 최근 엄 작가를 만났다.
"시각장애인들이 스마트폰을 얼마나 잘 쓰는데요(웃음). 스마트폰으로 삶을 획기적으로 바꿨는데 앱 모양을 궁금해했어요. 고딕체 글씨, 점자, 아이콘 모양, 촉각 이미지로 만든 책이에요. 25년째 장애인과 이런 협업 프로젝트를 해왔습니다."

1996년 엄 작가는 재단 '우리들의 눈'을 설립했다. 미술은 시각을 전제 삼는다는 편견에 대한 의문 때문이었다. 독일 뮌헨대를 졸업하고 건국대에서 학생을 가르치던 그는 편견 없이 전국 맹학교 12곳을 차례차례 다가갔다. "처음엔 순수한 예술적 동기였어요. 보지 않고도 미술을 할 순 없을까란 질문에 답하다 보니 그게 평생 과업이 됐습니다."

그렇게 만난 학생들의 창의성은 엄 작가의 예술적 동인이자 귀착점이었다. '시각장애인이 보는 세상은 암흑'이란 인식부터가 편견이었다. 시각장애는 스펙트럼이 넓다. 왜곡된 형상만 보기도 하고, 50㎝ 안에서는 색을 골라내기도 한단다. "앞 못 보는 장애학생과 눈(目)을 근거 삼는 시각예술가 간 컬래버레이션이죠. 비시각장애인도 근시, 원시, 사시가 있잖아요. 시력을 넘어서는 예술을 지향했습니다."

'코끼리 만지기' 프로젝트는 그의 10년 프로젝트였다. 배우 앤젤리나 졸리가 후원해 유명해진 태국 치앙마이의 '엘리펀트 네이처 파크'에서 엄 작가는 학생들이 코끼리를 만나도록 했다. 학생들이 흙으로 빚거나 흐릿한 회화로 담아낸 코끼리 모습은 충분히 예술적이었다.

"저 치앙마이 공원은 실명(失明)하거나 다친 코끼리를 치료하는 병원이에요. 학생들은 이내 동물에게서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정상성과 비정상성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제와 연결되는 거죠."

인사동 그의 작업실에도 2.5m 노란 코끼리 형상이 있다. 청주맹학교 황채현 학생이 빚은 코끼리를 거대한 크기로 제작했다. 하늘을 향해 치켜든 코는 일견 기형적이지만 '보이지 않는 것을 본다는 것'을 고민하게 만든다.

"많은 사람이 세상을 시각 중심으로 살아가지만 모든 예술은 또 결핍에서 시작됩니다. 보지 못한다고 미술을 할 수 없다는 편견도 사회가 세운 또 하나의 벽은 아닐까요."

엄 작가 도움으로 미대에 진학하는 맹학교 학생도 늘고 있다. 박찬별 학생은 대구대 현대미술과를 졸업해 작가로 활동 중이고, 지난해 같은 과에 입학한 신현빈 학생은 그의 작품이 패션브랜드 반스(VANS) 운동화로 전국 매장에 지난달 출시돼 화제가 됐다.

"찬별이는 사춘기 지나는 모습까지 다 봤는데 활동하는 모습을 보면 뿌듯하죠(웃음). 예술가는 전형적인 형태에서 애써 벗어나려는 사람들이잖아요. 미술을 꿈꾸는 시각장애 학생들은 그런 점에서 이미 자질이 있어요."

엄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두고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이란 표현을 자주 썼다. 무관심했던 일을 해내는 것의 의미는 뭘까. "전 '돕는다'고 생각하지 않고 아이들과 협업한다고 생각해요. '우리들의 눈'이 소개하는 학생들 작품을 자주 찾아주세요. 그게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일 거예요."

[김유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