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컴투스, "내년 연매출 1조..종합 콘텐츠 기업 '목표'"

임영택 2021. 5. 12. 16: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컴투스(대표 송재준)가 1분기 영업이익 축소에도 향후 성장세를 자신했다.

주요 신작 출시를 앞세워 내년도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컴투스는 지난 1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1166억원, 영업이익 176억원, 당기순이익 290억원을 기록했다.

컴투스 송재준 대표는 "내년까지 게임사업 연매출을 1조원으로 성장시킬 것"이라며 "백년전쟁은 연간 2000억원, 크로니클은 연간 3000억원 매출 실현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백년전쟁'·'크로니클'로 연간 5000억 매출 '목표'..콘텐츠 밸류체인 구축 '심혈'

컴투스(대표 송재준)가 1분기 영업이익 축소에도 향후 성장세를 자신했다. 주요 신작 출시를 앞세워 내년도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게임을 넘어 웹툰, 웹소설,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방송, 공연, 전시까지 아우르는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컴투스는 지난 1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1166억원, 영업이익 176억원, 당기순이익 29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이 18.7% 늘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25.3%, 1.2%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도 13.5% 줄고 영업이익은 32.3% 축소됐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환율 안정화 영향 등으로 흑자전환했다.

컴투스는 1분기 영업이익 감소가 일시적인 인건비와 마케팅비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사 보상 강화에 따른 비용이 3월에 지급돼 일시적으로 인건비가 증가했고 신작 ‘서머너즈워: 백년전쟁’의 출시 준비로 마케팅 비용도 늘어났다.

그러나 2분기부터는 신작 ‘백년전쟁’과 ‘서머너즈워’ 7주년 효과를 통해 반등 가능성을 점쳤다.

컴투스에 따르면 ‘백년전쟁’의 경우 출시 이후 10일간 일평균 매출 10억원을 기록하며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일 평균 이용자수(DAU)는 75만명 수준을 기록했고 다운로드 건수도 300만건 이상이다. 13일 업데이트에 따른 지표 상승세도 기대한다.

여기에 ‘서머너즈워’도 7주년을 맞아 호조를 보이고 있다. 매년 진행되는 출시일 기념 프로모션 기준 역대 최고치인 일매출 40억원 이상을 달성했다.

컴투스 백경진 사업본부장은 “‘백년전쟁’은 지난 4월 29일 출시 이후 첫 10일 기준 DAU는 75만 이상이고 최근에는 60만 중반에서 안정화됐으며 13일 업데이트로 70~80만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라며 “매출도 업데이트로 50~100%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컴투스는 오는 7월에는 또 다른 신작 ‘서머너즈워: 크로니클’의 글로벌 테스트를 실시하며 추가적인 성장을 모색한다. 연내 출시 예정인 ‘크로니클’은 ‘서너머즈워’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모바일 MMORPG다. 실시간 대전게임인 ‘백년전쟁’과 달리 시장 잠재력이 높은 MMORPG라는 점에서 더 큰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2년 게임사업 매출 1조원 달성을 이룬다는 목표다.

컴투스 송재준 대표는 “내년까지 게임사업 연매출을 1조원으로 성장시킬 것”이라며 “백년전쟁은 연간 2000억원, 크로니클은 연간 3000억원 매출 실현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컴투스는 게임사업을 넘어 글로벌 콘텐츠 종합회사로 성장한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하나의 IP를 게임은 물론 웹툰, 웹소설, 방송, 영화, 드라마, 공연, 전시까지 아우르는 멀티 콘텐츠로 제작해 선보인다는 전략이다.

실제 컴투스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 스카이바운드에 대한 전략적 투자는 물론 ‘승리호’로 유명한 컴퓨터그래픽스 및 시각특수효과 기업 위지웍스튜디오 투자, 웹툰 전문 제작사 케나즈와의 합작회사 정글스튜디오 설립, MCN 기업 클레버이앤엠 지분 인수, 방송 및 콘텐츠 제작사 미디어캔 투자 등 콘텐츠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해왔다.

송 대표는 “콘텐츠 밸류체인을 구축해 게임 중심의 글로벌 콘텐츠 종합회사로 성장할 것”이라며 “이외 게임 IP 확보, 개발력 확보 등 방향성에 부합하는 곳이라면 규모와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보고 있다”라고 밝혔다.

[게임진 임영택기자 ytlim@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게임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