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1Q 호조..매출·영업이익 모두 성장

임영택 2021. 5. 12. 1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넥슨(대표 오웬 마호니, 일본법인)이 지난 1분기에 호실적을 기록했다.

넥슨은 "모바일 게임 매출 증가와 한국 지역 주요 라이브게임의 호실적, 일본과 북미·유럽, 기타 지역 등 글로벌 지역의 고른 성장세를 기반으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7%, 4% 증가했다"라며 "순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8% 감소했지만 전망치를 상회했다"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바일게임 매출 전년比 32%↑..영업이익률 49% '눈길'

넥슨(대표 오웬 마호니, 일본법인)이 지난 1분기에 호실적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7%, 4% 성장한 827억6200만엔(한화 9045억원), 415억4300만엔(4540억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49%로 집계됐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8% 감소한 499억1100만엔(5455억원)이다.

넥슨은 “모바일 게임 매출 증가와 한국 지역 주요 라이브게임의 호실적, 일본과 북미·유럽, 기타 지역 등 글로벌 지역의 고른 성장세를 기반으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7%, 4% 증가했다”라며 “순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8% 감소했지만 전망치를 상회했다”라고 설명했다.

전년동기 대비 올해 1분기 실적을 견인한 것은 모바일게임이다. 1분기 플랫폼별 매출 비중은 PC게임이 74%, 모바일게임이 26%다.. 이중 모바일게임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PC게임 매출은 전년동기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한국 지역 매출이 핵심축을 차지했다. 넥슨의 1분기 지역별 매출 비중은 한국이 57%, 중국이 29%, 일본 4%, 북미·유럽 5%, 기타 5% 등이다. 넥슨은 한국에서만 501억엔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동기 대비 26% 성장했다.

특히 한국 내 PC게임 매출은 352억엔으로 전년동기 대비 21% 늘었다. 성장률은 한국 내 모바일게임 매출이 전년대비 42% 성장해 더 높았지만 매출 증가액은 PC게임 부문이 더 컸다. PC게임은 지난해 1분기 292억엔에서 올해 352억엔, 모바일게임은 전년동기 105억엔에서 올해 148억엔을 기록했다. 주요 매출 견인 PC게임은 ‘메이플스토리’와 ‘피파온라인4’, ‘던전앤파이터’, ‘서든어택’ 등이다.

넥슨 오웬 마호니 대표는 “포트폴리오 확대 및 글로벌 전역의 고른 성과로 1분기에도 견고한 실적 흐름을 이어갈 수 있었다”며 “선택과 집중의 개발 기조를 기반으로 멀티플랫폼 확장과 IP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넥슨은 2분기에는 매출은 545~596억엔, 영업이익 120~164억엔, 순이익은 90~123억엔으로 예상했다. 한국 내 모바일게임 전년 대비 매출이 견조한 흐름을 잇는 가운데 PC게임 매출의 감소를 전망했다. 중국 ‘던전앤파이터’ 매출도 전년동기 대비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게임진 임영택기자 ytlim@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게임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