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온 4년 완전한 회복과 도약으로 ⑤국제위상 제고

2021. 5. 12. 14: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협력을 주도하는 당당한 외교를 펼치고 K팝, K뷰티 등 문화강국 기반 다져 세계 속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계속 높이겠습니다.

◆ 정상외교 및 국제사회 연대와 협력

‘G20 정상회의 (20년 3월, 11월) 및 APEC 정상회의(20년 11월) 참여로 글로벌 다자 협력 강화’

- G7* 정상회의 2년 연속 초청

·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으로 구성된 주요 선진 7개국 협의체

- P4G* 서울 정상회의 개최 (5.30~31)

·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첫 환경분야 다자회의

- WEF* 글로벌 기업 CEO들 ‘한국판뉴딜’ 극찬

· 세계경제포럼으로 세계 저명한 기업인, 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에 대해 논하는 국제민간회의

◆ 빠른 회복과 견고한 성장세

‘코로나 이전으로 경제 회복한 거의 유일한 나라’ (홍남기 부총리 대국민 담화 20.4.26)

- ’20년 경제규모 세계 10위 진입 (’21.4월 IMF)

· 2026년까지 세계경제 ‘톱10’ 유지 전망 (*명목GDP 순위)

- ’20년 1인당 국민총소득(GDP) G7 첫 진입 (’21.1월 IMF DB 기준)

· 한국 31,497달러 > 이탈리아 31,288달러

- 한국 국가신용등급 AA유지 (’21.4월 S&P)

· 등급전망 ‘안정적’ 유지

- ’20년 부패인식지수(CPI) 역대 최고 (’21.1월 국제투명성기구)

· 4년 연속 상승, 세계 33위

- 제1회 OECD 디지털 정부 평가 종합 1위 (’20.10월 OECD)

· 그외 2019 0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1위, 2020 블룸버그 디지털전환국가 1위 등

◆ 문화강국 실현을 통한 소프트파워 강화

‘한류를 넘어 신한류가 흐르도록’

- 한류협력위원회 출범 (’20.2)

·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 발표 (관계부처 합동, ’20.7월)

- 문화콘텐츠 수출액 증가

· 7,904백만불(’17년) → 10,567백만불 (’20년) *추정치

- 한류 총 수출액 증가(관광 제외)

· 8,377백만불(’17년) → 10,175백만불 (’20년) *추정치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