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윤활유 테마, 흥구석유 +13.42%, 극동유화 +5.11%

C-Biz봇 2021. 5. 12. 1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윤활유란 움직이고 있는 두 물체 사이에 액상이나 반고체형의 물질을 넣어 마찰을 감소시키고 그 움직임을 쉽게 하는 물질.

이에 따라 산업용 윤활유는 기계설비 작동 시 발생하는 마찰력과 마찰열을 줄이는 데 사용.

윤활유의 종류로는 자동차용 엔진오일(가솔린,디젤용 등), 터빈유, 기어유, 유압유, 압연유, 절삭유, 그리스, 냉동기유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자동차용 엔진오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윤활유]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4.39% 상승세이다. 흥구석유(024060) +13.42%, 극동유화(014530) +5.11%, 미창석유(003650) +1.53%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3줄 요약▷ 윤활유는 마찰력과 열을 최소화..엔진오일 등이 큰 비중 차지▷ 윤활유 시장 성장은 정체..다만 고배당주로 주목▷ 유가 상승 기대감이 높아질 때 주가 급등하는 경향

윤활유란 움직이고 있는 두 물체 사이에 액상이나 반고체형의 물질을 넣어 마찰을 감소시키고 그 움직임을 쉽게 하는 물질. 이에 따라 산업용 윤활유는 기계설비 작동 시 발생하는 마찰력과 마찰열을 줄이는 데 사용.

윤활유의 종류로는 자동차용 엔진오일(가솔린,디젤용 등), 터빈유, 기어유, 유압유, 압연유, 절삭유, 그리스, 냉동기유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자동차용 엔진오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윤활유는 기계설비가 가동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소모되 일정 기간 사용 후 교체해야 하는 소모성 제품에 속하기 때문에 산업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품목. 따라서 윤활유는 시장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의 가동률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 특성을 지님. 또한 선박, 해운 및 자동차 산업의 경기에도 영향을 받음.

주 원재료인 윤활기유의 가격이 하락할수록 마진이 개선되는 구조. 윤활기유는 국제시장의 수요 공급 상황에 따라서 가격의 변동이 심하게 작용하는 특성을 지님.

국내 윤활유 시장은 국내 제조업의 성장 둔화로 시장의 성장이 정체된 상황. 또한 차량의 품질 향상과 전기차의 급격한 성장은 자동차용 윤활유의 소모량이 지속적인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부정적.

다만 국내 윤활유 기업은 전통적으로 높은 배당 성향을 보여 고배당주로 꼽힘. 2018년 기준 4개사(미창석유, 흥구석유, 한국쉘석유, 극동유화)의 평균 현금배당수익률은 4%.

한편 전쟁이나 무력도발 등 국제적인 이슈가 부각될 때마다 유가 급등 가능성에 제기되면서 해당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음.

(마지막 업데이트 2021.03.26)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흥구석유(024060) +13.42% 석유류 도소매 판매업체. 석유류 제품인 휘발유, 등유, 경유 등을 GS칼텍스로부터 매입하여 대구, 경북 지역에 공급중.
극동유화(014530) +5.11% 산업용 윤활유 생산 전문업체. 식품첨가물용 유동파라핀, 방수시트 등도 제조.
미창석유(003650) +1.53% 산업용 윤활유 생산 전문업체. 자동차용/선박용/산업용 윤활유 및 전기절연유, 고무배합유, 유동파라핀 등 생산.
한국쉘석유(002960) -2.50%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석유회사 '로열 더치 쉘' 그룹의 한국법인으로 윤활유 전문 생산기업.

윤활유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32.04%
1개월 등락률 -0.55%
1주 등락률 +3.10%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