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벤처캐피탈 테마, 에이티넘인베스트 +15.43%, 우리기술투자 +8.48%

C-Biz봇 2021. 5. 12. 11: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2020년 9월 누적 기준 VC 펀드 신규 결성액은 코로나19, 대규모 정책 펀드 투입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8.7% 감소한 2조 8485억원 기록(한국벤처캐피탈협회). 업종별 신규투자 비중은 바이오/의료가 27%로 가장 높으며, ICT(정보통신기술) 서비스가 25.6%로 그 뒤를 잇고 있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벤처캐피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6% 상승세이다. 에이티넘인베스트(021080) +15.43%, 우리기술투자(041190) +8.48%, 대성창투(027830) +4.40%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3줄 요약▷ 벤처캐피탈(VC)은 잠재력이 있는 벤처기업에 투자▷ 코로나19로 IT 서비스, 헬스케어가 투자 트렌드▷ 지분 보유 기업이 상장 기대감을 높일 때 주가 자주 급등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은 기술력과 장래성은 있으나 경영기반이 약해 일반 금융기관으로부터 융자받기 어려운 벤처기업에 무담보 주식투자 형태로 투자하는 기업.

VC는 초기~7년 이내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투자 대상 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게 되면 보유주식을 매각하여 투자금을 회수해 큰 수익을 올리기도 하지만, 투자금을 회수하기 힘든 경우도 있음.

2020년 9월 누적 기준 VC 펀드 신규 결성액은 코로나19, 대규모 정책 펀드 투입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8.7% 감소한 2조 8485억원 기록(한국벤처캐피탈협회). 업종별 신규투자 비중은 바이오/의료가 27%로 가장 높으며, ICT(정보통신기술) 서비스가 25.6%로 그 뒤를 잇고 있음.

대신증권과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VC 투자의 전체적인 트렌드는 IT 서비스와 헬스케어가 높은 비중을 차지. 특히 비대면 생활이 이어진데 따른 에듀테크와 배달 플랫폼, 공유 모빌리티,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기업들이 주목받았음.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 주목받으며, 의약품, 화장품, 식음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생물 생태계 기술이 혁신 기술로써 평가되며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2020년 하반기에는 코로나19 장기화가 뚜렷해지면서 비대면 생활에 좀 더 깊숙이 파고든 서비스 및 기술들이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상반기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음. 유니콘 기업들이 배달 및 배송 서비스에 진출하면서 투자 유치에 성공하고 있는 가운데, 실감형 인도어 피트니스 서비스(Zwift), 대화형 엔터테인먼트 서비스(Scopely), 지역 기반 모바일 중고거래 플랫폼(OfferUp) 등이 시장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음.

한편 정부는 대형 전용 펀드를 조성해 국내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2022년까지 12조원을 지원할 예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1.03.17)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에이티넘인베스트(021080) +15.43% 국내외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을 발굴,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탈.
우리기술투자(041190) +8.48% 신성솔라에너지 그룹 계열의 창업투자회사.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지분(8.03%)를 보유해 관련주로 부각받기도 함(2020.09.30 기준).
대성창투(027830) +4.40% 대성그룹계열 창투사로, 바이오/의료 및 ICT 서비스 분야 투자 확대 중.
나우IB(293580) +4.06% 신기술사업금융업, 사모펀드(PEF) 운용. 인수합병(M&A) 자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종합투자회사.
DSC인베스트먼트(241520) +3.61% 창업 초기기업 투자를 주력으로 하며, 주요 투자대상은 모바일서비스·바이오·메디컬·핀테크 분야.
아주IB투자(027360) +3.31% 벤처캐피탈투자기업. 미국법인의 설립 및 지점 확장을 통해 미국 내 투자분야를 기존 바이오 산업에서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로봇, 자율주행 등 4차 산업으로 넓혀가고 있음.
SBI인베스트먼트(019550) +2.74% 벤처캐피탈 업체로, 중소 창업기업의 투자지원, 창업투자조합의 결성·운영, M&A(인수·합병) 등 영위. 투자 포트폴리오의 산업별 구성은 IT 업종 중심에서 생명공학, 환경, 엔터테인먼트 등의 업종으로 다양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TS인베스트먼트(246690) +2.67% 중소·벤처기업 인수합병(M&A) 분야에 특화된 창업투자회사.
미래에셋벤처투자(100790) +2.61% 미래에셋금융그룹의 벤처캐피털로 그룹사의 초기 기업 투자를 전담. 계열사가 LP(유동성공급자)로 참여해 안정적으로 운영자금을 확보.
린드먼아시아(277070) +0.29%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 업체. 투자조합 및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결성 및 운영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디피씨(026890) 0.00% 자회사 스틱인베스트먼트(지분율 100%)를 통해 창업투자업 영위. 스틱은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빅히트와 1040억원 규모 투자계약을 맺어 BTS 수혜주로 부각(2020.09.30 기준).
큐캐피탈(016600) -0.30% 벤처캐피탈 업체로, 벤처·기업구조조정·사모투자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SV인베스트먼트(289080) -0.33% 바이오/헬스케어, 문화콘텐츠, Secondary 등 분야를 주로 투자하는 벤처캐피탈 업체.
컴퍼니케이(307930) -0.47% 스타트업 전문 벤처캐피탈 기업. 운영중인 조합은 총 12개로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10개, 농식품투자조합 1개로 구성.
플랜티넷(075130) -1.47% 자회사인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지분 62.5%)를 통해 벤처투자사업 영위(2020.09.30 기준).
리더스 기술투자(019570) -3.42% 중소기업 창업투자회사로, 주식·전환사채 인수, 투자조합 출자 및 관리 등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

벤처캐피탈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49.74%
1개월 등락률 -15.97%
1주 등락률 -3.88%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