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영관협회 "정부는 '코로나19 피해' 극장 실질적 지원하라" [공식]

이다원 기자 edaone@kyunghyang.com 2021. 5. 12. 10: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12일 오전 서울 메가박스 동대문에서 한국상영관협회 측이 정부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 요청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다원 기자


한국상영관협회가 코로나19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며 정부가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창무 한국상영관협회를 비롯해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네큐 등 국내 4대 상영관 대표들은 12일 오전 서울 메가박스 동대문에서 진행된 영화관업계 정상화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에서 정부 지원 요청 호소문을 읽었다.

이들은 코로나19 피해 극복 해결책으로 ▲영화 시장 정상화를 위해 배급사들의 영화 개봉을 독려할 수 있는 ‘개봉지원금’ 및 관객들의 문화생활 확대를 위한 ‘입장료 할인권’ 지원 ▲2021 영화발전기금 납부 전면 면제 ▲피해 극장들에 실효성 있는 금융 지원 ▲단계별 음식물 취식 완화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정부에 요청했다.

202년 전체 극장 관객수는 전년 대비 74%가 감소하며 통전망이 가동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영화산업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극장이 초토화돼 한국 영화업계 전반에까지 그 위기가 커지고 있다.

상영관협회 호소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화관 업계, 지원 요청 호소문>

가장 최근 영화관을 가보신 게 언제쯤이십니까?

드문드문 관객이 앉아있는 객석은 썰렁하기만 합니다.

영화를 통해 희노애락을 느꼈던 우리의 일상은 무너진 지 오래입니다.

올해 들어 영화시장의 회복을 기대했지만 지난해보다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2년 연속 오스카상 수상이라는 큰 영예 뒤에서 영화관은 죽어가고 영화인들의 삶은 피폐해져 갑니다.

영화산업은 세계를 선도해갈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문화산업입니다.

하지만 국가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각종 재난지원에서 영화산업은 철저히 소외되어 있습니다.

특히 극장은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 지침에 따라 철저한 방역 수칙을 준수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에 속한다는 이유로 늘 지원에서 배제되어 왔습니다.

극장업은 모든 산업을 통틀어 보더라도 손꼽히는 피해업종입니다.

그럼에도 정부의 지원책은 영화발전기금 감면, 영화할인권 등 상당히 제한적이었습니다.

특히 이 지원을 위해 사용된 재원은 모두 영화발전기금을 전용해 마련한 것이었습니다.

영화발전기금은 영화계가 영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매년 티켓값의 3%를 거두어 조성한 돈입니다.

그런데도 이 중 일부를 전용해 사용하는 것조차 정부는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제약을 가합니다.

지금 영화산업을 방치하면 제2의 ‘기생충’, 제2의 봉준호, 제2의 윤여정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즉시 과감히 영화발전기금을 전용해 코로나 극복을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

그것도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위급하고 꼭 필요한 곳에 쓰여야 합니다.

이와는 별개로 정부는 영화산업을 기간산업으로 보고 과감한 지원예산을 마련해주십시요.

극장업계는 지금 다음과 같은 지원책이 절실합니다.

#다음

1. 지금은 영화관에 볼 영화가 없습니다. 영화시장이 정상화 되려면 영화가 개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극장사들은 2월부터 관객 1인당 1000원의 개봉지원금을 배급사에 지급하고 있으나 한계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정부가 나서 주십시오.

배급사들에게 영화 개봉을 독려할 수 있는 ‘개봉지원금’과 관객들의 문화생활을 확대하고 영화 소비를 늘릴 수 있는 ‘입장료 할인권’ 지원금을 마련해주십시오.

2. 2021년 영화발전기금 납부를 전면적으로 면제해 주십시오. 이는 극장은 물론 영화업계 전체의 생존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입니다.

3. 띄어앉기, 시간대 제약 등으로 극심한 피해를 입은 극장들을 위해 임대료 및 금융지원에 나서 주십시오.

4. 음식물 취식에 대한 지나친 제한으로 극장은 기피 시설로 낙인 찍혔습니다. 단계별로 음식물 취식을 완화해 주십시오.

이다원 기자 edaone@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