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색 없는 게 윤공주의 색깔".. 두 공연 오가는 야누스의 얼굴

김기윤 기자 2021. 5. 12.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뮤지컬 '맨오브라만차'에서 죽어가는 돈키호테를 보며 "내 이름은 둘시네아예요"라고 결연히 고백하는 '알돈자'.

지난해 개막할 예정이었던 '맨오브라만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한 차례 연기되면서 윤공주는 격일로 두 공연을 소화해야 했다.

윤공주는 "'윤공주 스타일'의 알돈자를 조금이나마 좋아해 주신 것 같다. 물론 그냥 하는 말일 수도 있다"며 웃었다.

"나만의 색이 없는 게 윤공주의 색깔"이라는 그의 색채는 올해 뮤지컬계를 어느 때보다 짙게 물들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뮤지컬 데뷔 20주년 맞은 배우 윤공주
뮤지컬 ‘시카고’에서 검은색 단발 가발을 쓴 채 벨마 켈리를 연기하는 윤공주(왼쪽 사진). 뮤지컬 ‘맨오브라만차’에서는 남성들의 괴롭힘에 고통스러워하는 알돈자 역을 맡았다. 신시컴퍼니·오디컴퍼니 제공
뮤지컬 ‘맨오브라만차’에서 죽어가는 돈키호테를 보며 “내 이름은 둘시네아예요”라고 결연히 고백하는 ‘알돈자’.

뮤지컬 ‘시카고’에서 허스키한 목소리로 “올 댓 재즈(All that jazz)”를 섹시하게 부르는 ‘벨마 켈리’.

배우 윤공주(40)는 무대 위 여배우라면 누구나 선망하는 두 배역을 동시에 소화하고 있다. 노래, 안무, 연기까지 어느 하나 빠지지 않는 만능 캐릭터로 평가받지만, 정작 본인은 “나만의 색깔이 없어서”라며 두 작품을 매끄럽게 오가는 ‘비결’을 겸손하게 표현했다.

하루는 알돈자로, 다음 날은 벨마 켈리로 사는 윤공주를 최근 서울 중구 충무아트센터에서 만났다. 지난해 개막할 예정이었던 ‘맨오브라만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한 차례 연기되면서 윤공주는 격일로 두 공연을 소화해야 했다. 그는 “오늘 빨갛게 손톱 매니큐어를 칠하면, 내일은 매니큐어를 말끔히 지우고 무대에 오른다. 내 안에는 알돈자의 한(恨)도, 벨마의 화려함도 있다. 변신하느라 힘들 틈이 없다”며 웃었다.

윤공주가 맡은 두 역할은 판이하다. 알돈자는 죽지 못해 살아가는 비운의 여주인공. 사람들의 멸시 속에서 버티다 유일하게 자신을 소중한 존재로 대하는 돈키호테를 보고 비로소 희망을 품는다. 반면 쇼 뮤지컬의 정점인 시카고에서 벨마 켈리는 남편을 살해해 복역 중인 죄수다. 진한 검정 가발을 쓰고 격하게 춤추며 강렬한 퇴폐미를 뽐내는 게 포인트다.

윤공주는 “보기와 달리 알돈자가 훨씬 힘들다”고 했다. 특히 “알돈자는 주인공인 돈키호테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매개가 된다. 감정을 후반부까지 끌어올리는 과정은 격한 춤보다 현기증이 난다. 공연 전 더 든든히 먹어둬야 한다”고 했다.

그는 26세인 2007년 처음 알돈자와 인연을 맺었다. 당시 어린 나이에 대작에 발탁된 파격적 캐스팅이었다. 올해까지 다섯 번째로 알돈자 역할을 맡으며 그의 대표 캐릭터로 키워냈다. “14년 전 첫 공연 때는 장면마다 잘 해내느라 급급했죠. 지금은 아무래도 표현의 여유, 자유가 생겼다고 할까요?”

맨오브라만차의 상대역은 류정한 조승우 홍광호다. 윤공주는 “대한민국 최고 배우들과 호흡을 맞추는 것 자체가 제겐 신기한 일”이라고 했다. 조승우는 무대가 끝나면 “역시 뮤지컬은 윤공주지”라며 자주 칭찬한다고. 윤공주는 “‘윤공주 스타일’의 알돈자를 조금이나마 좋아해 주신 것 같다. 물론 그냥 하는 말일 수도 있다”며 웃었다.

윤공주는 “저는 섭외 0순위 배우도 아니었고, 오디션에도 약한 사람이다. 다만 몇 안 되는 기회를 잡아 무대에 섰을 때 제작진, 관객에게 믿음을 쌓으며 지금까지 왔다”고 말했다. 그는 “뮤지컬은 그 어떠한 것보다 저를 살아있게 만드는 존재”라고 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시카고에 대해선 “체력 소모는 분명히 심한데 이상하게 점점 더 숨이 안 찬다. 즐겁게 춤추고 노래하는 작품”이라고 했다. 공연 당일에도 매일 혼자 장거리 달리기를 하며 체력 관리를 해온 덕분이다. 동경의 대상이던 최정원 배우와 같은 배역을 맡았다. “언니를 절대 따라갈 순 없겠지만 ‘제2의 최정원’이라는 수식어는 마냥 좋다”고 했다.

2001년 뮤지컬 ‘가스펠’로 첫 무대에 선 윤공주는 올해로 데뷔 20주년을 맞았다. 음정 하나만 틀려도 혼자 펑펑 우는 건 다반사였다. “남들은 저를 완벽주의에 지나치게 예민한 사람이라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만큼 치열하게, 독하게 20, 30대를 보냈다”고 떠올렸다. “언젠가 나를 필요로 하는 곳이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 덕분에” 한 번도 그만두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다.

자신감과 책임감을 갖춘 윤공주는 지금 한국에서 ‘프로’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배우다. 최근 대작 뮤지컬에서 윤공주의 이름이 빠지지 않는 이유다. “나만의 색이 없는 게 윤공주의 색깔”이라는 그의 색채는 올해 뮤지컬계를 어느 때보다 짙게 물들이고 있다.

맨오브라만차, 16일까지 서울 중구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6만∼15만 원, 14세 관람가.

시카고, 7월 18일까지 서울 구로구 디큐브아트센터, 6만∼14만 원, 14세 관람가.

김기윤 기자 pep@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