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4년 만에 서울 청약 경쟁률 6배 '껑충'

조태현 2021. 5. 11. 22: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문재인 정부 출범 뒤 4년 만에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무려 6배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약으로 집 구하기가 그만큼 어려워졌다는 얘기인데요.

실수요자와 무주택자를 고려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위례신도시에 있는 한 아파트 건설현장입니다.

2023년 3월 입주를 목표로 기초 공사가 한창 이뤄지고 있습니다.

올해 초 이 단지의 청약이 진행됐는데요, 1순위 평균 경쟁률이 6백 대 1을 웃돌았습니다.

수도권으로 한정해서 보면 역대 최고 경쟁률입니다.

지난해 서울의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은 90대 1을 훌쩍 넘었습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뒤 4년 만에 6배가 넘게 높아진 겁니다.

급등한 건 다른 수도권도 마찬가지입니다.

전국적으로는 경쟁률이 두 배 가까이 높아졌습니다.

수도권을 제외하고도 부산과 세종 등에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청약 과열이 전국으로 번진 셈입니다.

[여경희 /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 새 아파트 선호와 주택 공급 부족 우려감, 분양가 통제에 따른 시세차익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청약 시장의 과열이 심화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청약 시장에서 소외된 30·40대가 이른바 '영끌'로 주택 매입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40대 직장인 : 분양가가 더 높긴 하지만 조금 더 넓은 추첨제 아파트에도 청약을 넣었는데 족족 다 떨어져서 어쩔 수 없이 집을 구매하게 됐습니다.]

청약에서 떨어진 수요가 대거 기존 주택 매매시장으로 모이면서 부동산 불안 요인은 가중되는 양상입니다.

[함영진 / 직방 빅데이터랩장 : (주택 수요자가) 저평가 지역이라든지 3기 신도시 개발지역, 또는 교통망 확충 지역으로 몰려 지난해에는 2006년 이후 거래량이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청약이 몰리면서 평균 청약 가점까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추세입니다.

실수요자 보호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청약 가점이 낮고 특별공급에도 포함되지 않는 무주택자를 고려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YTN 조태현[choth@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매주 공개되는 YTN 알쓸퀴즈쇼! 추첨을 통해 에어팟, 갤럭시 버즈를 드려요.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