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흐르는 아침] 정신적 시련을 극복한 결실..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c단조

2021. 5. 11.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작곡가로서 큰 야망을 품고 쓴 교향곡 1번(1897)이 악평에 시달리면서 수년간 극심한 우울증과 창조력의 공황 상태에 빠졌다.

그러던 중 니콜라이 달이라는 유능한 의사를 만난 덕분에 최면요법과 심리치료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작곡가로서 큰 야망을 품고 쓴 교향곡 1번(1897)이 악평에 시달리면서 수년간 극심한 우울증과 창조력의 공황 상태에 빠졌다.

그러던 중 니콜라이 달이라는 유능한 의사를 만난 덕분에 최면요법과 심리치료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그 달콤한 결실이 너무도 유명한 피아노 협주곡 2번 c단조(1901)다. ‘크렘린의 종소리’를 연상시킨다는 인상적인 개시부에 이어 러시아풍의 웅혼한 악상이 펼쳐지는 1악장, 애수 어린 슬픔의 감정과 부드러운 위로를 동시에 안겨주는 2악장, 현란한 기교 속에 삶의 환희를 만끽하면서도 힘들었던 과거를 돌아보는 듯한 3악장까지 더없이 풍부한 감성으로 가득한 명곡이다.

너무 대중적이라는 둥, 영화음악을 듣는 것 같다는 둥 이 곡을 얕잡아보는 평가에 마음이 흔들릴 필요는 없다. 이만큼 직접적으로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주는데 더 이상 무슨 잡설이 필요하단 말인가!

유형종 < 음악·무용칼럼니스트 (무지크바움 대표)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