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처리 빠르게" 삼성 D램 초격차 굳히기

박재영 2021. 5. 11.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업계 첫 CXL기반 D램 선봬
CPU·GPU간 메모리 공유로
데이터 처리용량 대폭 늘려
인텔 서버 플랫폼 탑재 전망
삼성전자가 용량을 테라바이트(TB)급까지 확장할 수 있는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기반의 D램 메모리 기술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기술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평가다.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1위 업체인 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 기술 리더십 선점에서도 먼저 나아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11일 삼성전자는 자사의 CXL 기반 D램 메모리가 인텔의 플랫폼에서 검증을 마치고 차세대 대용량 D램 솔루션의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CXL은 컴퓨팅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그래픽처리장치(GPU), 저장장치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최근 AI와 빅데이터 기술 등의 응용처가 늘어나면서 전자기기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는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 각 장치의 성능과 집적도에서는 더 이상 획기적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2019년 인텔의 주도로 제안된 새로운 컴퓨팅 시스템 인터페이스 CXL이다. 기존 컴퓨팅 시스템에는 CPU를 중심으로 메모리와 저장장치 등 각 장치에 별도 인터페이스가 존재했다. 따라서 시스템이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각 장치 간에 통신을 할 때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통과해야만 했고 그 과정에서 지연 문제 등이 발생했다. CXL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해 각 장치를 직접 연결하고 메모리를 공유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삼성전자는 CXL 컨소시엄 발족 초기부터 참여해 글로벌 주요 데이터센터, 서버, 칩셋 업체들과 차세대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HPE, 델 EMC 등 대형사들도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다만 인텔의 초기 구상과 달리 업계에서는 컴퓨팅 시스템이 CXL 단일 인터페이스로 통합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메모리 외에도 CPU, GPU, 저장장치 등 모든 분야에서 관련 기술 개발이 선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삼성전자는 CXL 기반의 D램 메모리를 현재 사용 중인 대용량 데이터센터와 서버 플랫폼 등에 먼저 적용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삼성전자가 공개한 CXL 기반 D램 메모리는 기존의 주력 기술인 DDR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공존이 가능하다. 기존 DDR D램 시스템에 추가 장착하는 방식으로 메모리 용량을 TB 수준까지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기존 D램의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단순 버퍼 역할만 수행했지만 삼성전자는 CXL D램에 최첨단 컨트롤러 기술을 접목해 고객들이 AI, 머신러닝,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등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분야에 CXL D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박재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