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글로벌 기업 3곳 중 1곳, 팬데믹 기간에 업무 자동화 늘려"

홍지인 2021. 5. 11. 1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기업 3곳 중 1곳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업무 자동화 사용을 늘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IBM의 '전 세계 인공지능 도입 지수 2021'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전 세계 15개국 5천501개 기업 중 38%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자동화 방식 사용을 증가시켜 직원 생산성을 높였다.

응답 기업 중 61%는 이미 업무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쓰고 있고, 19%는 1년 안에 도입할 계획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개국 5천501개 기업 대상 조사.."효율성·경비 절감 때문"
[IBM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전 세계 기업 3곳 중 1곳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업무 자동화 사용을 늘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IBM의 '전 세계 인공지능 도입 지수 2021'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전 세계 15개국 5천501개 기업 중 38%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자동화 방식 사용을 증가시켜 직원 생산성을 높였다.

응답 기업 중 61%는 이미 업무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쓰고 있고, 19%는 1년 안에 도입할 계획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업무 자동화 도구를 쓰는 이유로는 '효율성 추구'와 '경비 절감'이 각각 58%(중복 응답)로 가장 많이 꼽혔다.

업무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 기업은 31%로, 지난해 조사 때와 큰 차이가 없었다.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43%였다.

AI 도입과정의 걸림돌로는 'AI 관련 전문성 및 지식의 부족'이 39%로 가장 많이 꼽혔고, '데이터 복잡성 증가'가 32%, 'AI 모델 개발을 위한 도구 및 플랫폼 부족'이 28%였다.

가장 주목받은 AI 분야는 인간의 언어를 기계가 이해하고 처리하는 자연어 처리(NLP)였다.

응답 대상 중 42%는 이미 사업에 NLP 기술을 사용하고 있고, 26%는 1년 내 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NLP 도입의 장벽으로는 '높은 비용'이 29%로 가장 많았고, '훈련 부담 과다'가 26%, '업데이트 어려움'이 24% 등이었다.

ljungberg@yna.co.kr

☞ DJ DOC 김창열 싸이더스HQ 대표 자진사임…이유는
☞ 젝키 이재진 결혼…"어느덧 40대, 어른스러운 가장 될 것"
☞ 코로나 막는다며 소똥 바르는 인도인…심지어 의사까지
☞ 평택시 포스터에 '뜬금없는 남혐 손모양' 그림 논란
☞ 고객 휴대폰 자료 옮기다 성관계 동영상 발견하고는…
☞ 박신영 아나 운전 중 오토바이와 충돌…피해자 사망
☞ 18일간 한 대학 교수 34명 사망…만수르 편지로 알려져
☞ 승진 못해 피해망상… 급기야 모친 살해 비극
☞ 쓰레기 수거함서 잠자던 13세 소년, 청소차량에 참변
☞ 간호사 실수로 백신 6회분 접종을 한방에…괜찮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