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93%가 정보 수집"..맞춤형 광고 위한 '일상 감시'

김기태 기자 2021. 5. 11. 01: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터넷에서 사고 싶은 물건이나 관심 있는 분야를 검색하고 나면, 곧바로 관련성 있는 '광고'가 쏟아지죠.

서울대 고학수 교수팀이 앱 886개를 분석해보니 93%가 사용자 정보를 수집해 광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디지털 광고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매년 2천270억 달러, 254조 원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앱 추적 정보의 사생활 침해에 대해 이렇게 논란이 커지는데, 우리는 아직 이를 개인정보로 분류할 것인지조차 논의하지 않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인터넷에서 사고 싶은 물건이나 관심 있는 분야를 검색하고 나면, 곧바로 관련성 있는 '광고'가 쏟아지죠. 일상을 감시받는 것 같아서 불편하다는 분들이 많은데요.

해결 방안은 없는지. 김기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스마트폰 앱과 PC로 네이버와 구글에서 '남성 구두'와 관련된 키워드를 검색했습니다.

잠시 뒤 접속한 페이스북의 타임라인에는 수제화, 명품 쇼핑몰 광고가 줄을 잇습니다.

같은 식으로 제주도 여행을 검색했더니 호텔 관련 광고가 쏟아집니다.

[30대 남성 : 내가 이걸 검색했다는 걸 어떻게 알지? 얘들은 내가 검색한 기록을 어떻게 알고 (광고)하는 거지?]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용 아이디로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하고 취향에 맞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입니다.

서울대 고학수 교수팀이 앱 886개를 분석해보니 93%가 사용자 정보를 수집해 광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있었습니다.

연애, 종교, 숙박, 건강 등 민감한 개인정보와 관련된 앱들도 포함됐습니다.

이런 디지털 광고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매년 2천270억 달러, 254조 원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자, 애플은 지난달 사용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모을 수 없도록 했고 구글도 비슷한 내용의 정책을 내년 2분기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앱 추적 정보의 사생활 침해에 대해 이렇게 논란이 커지는데, 우리는 아직 이를 개인정보로 분류할 것인지조차 논의하지 않고 있습니다.

김기태 기자KK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