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장] 신뢰 잃은 사법권 '이상한 재판의 나라에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현장입니다.
이번 주 읽어볼 만한 책들을 이주상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신뢰를 잃은 우리 사법의 우울한 풍경, <이상한 재판의 나라에서> 입니다. 이상한>
사법 신뢰의 상실은 법관의 권력, 즉 사법권은 국민에서 나온다는 기본적인 원칙이 흔들리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unFun 문화현장]
<앵커>
문화현장입니다. 이번 주 읽어볼 만한 책들을 이주상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기자>
[이상한 재판의 나라에서 / 정인진 / 교양인]
신뢰를 잃은 우리 사법의 우울한 풍경, <이상한 재판의 나라에서>입니다.
사법 신뢰의 상실은 법관의 권력, 즉 사법권은 국민에서 나온다는 기본적인 원칙이 흔들리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낙태죄와 차별금지법, 표현의 자유 등 우리 사회 뜨거운 이슈들에 대해서도 명쾌하게 논리를 제시합니다.
---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 / 김민환 / 문예중앙]
순리를 위해 역풍도 뚫고 날았던 인물의 이야기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난다>입니다.
해방 공간과 한국 전쟁 시기 좌도 우도 아닌 순리를 추구하다 역사의 흐름에 휩쓸렸던 봉강 정해룡 선생의 스토리를 대하소설로 복원했습니다.
전남 보성의 명문가 정씨 집안이 몰락하는 과정을 한반도 현대사의 굴곡으로, 또 보편적 인간의 운명으로 승화시켰습니다.
---
[뉴 바이러스 쇼크 / 최강석 / 에듀넷]
코로나 시대, 바이러스의 정체는 무엇이고 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살펴보는 <뉴 바이러스 쇼크>입니다.
바이러스의 진화는 인간이 스스로 재촉했고, 이제는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백신과 치료제, 예방법 등 바이러스 시대를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
[모국어를 위한 불편한 미시사 / 이병철 / 천년의상상]
우리말이 지나온 길, 그리고 나아갈 길 <모국어를 위한 불편한 미시사>입니다.
앙꼬빵과 곰보빵, 빠다빵처럼 우리말에 숨어 있는 일본어들을 추적하고 또 숨어 들어오고 있는 영어를 솎아냅니다.
우리말을 죽이는 어휘들과 함께 어제도 잘못 쓰고 오늘도 잘못 쓰고, 내일도 잘못 쓸 표현들까지 꼼꼼하게 정리했습니다.
이주상 기자joosang@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농부 커플 결혼 날 '겹경사'…드레스 입고 송아지 받은 신부
- 이휘재 “탈모약 부작용, 아내 문정원 여자로 안보이더라”
- “심 봤다” 함양 덕유산 자락서 100년 넘은 천종산삼 발견
- “정부 백신 정책, 어떻게 생각하세요?” 국민들의 대답
- SNL 출연한 머스크, 도지코인 급락시킨 '한마디'
- 중국 로켓 잔해 대부분 소멸…“도박에서 이긴 셈”
- 화상회의 중인데 안전벨트?…美 의원의 어설픈 연기
- 운전자 탄 채 호수 추락…물속 뛰어든 시민들
- “mRNA 백신은 공공재”…“한국은 단기에 생산 가능”
- 10년 동안 헌금 4억 '야금야금'…교회는 '쉬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