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1년 남긴 문 대통령..남북관계 '대전환' 가능할까?

홍선기 2021. 5. 9. 22: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내일이면 임기를 꼭 1년 남기게 되는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과제 가운데 하나가 남북관계 개선일 겁니다.

문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임기 마지막 해에 남북관계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강조했는데요.

다음 주 있을 한미정상회담을 '대전환'의 출발점으로 삼겠다는 각오여서 정상회담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내일이면 취임 4주년을 맞는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는 이제 딱 1년을 남겨두게 됩니다.

집권 초 급물살을 타던 남북관계는 취임 1년도 안 돼 두 차례 정상회담을 진행하며 한반도에 훈풍을 불게 했습니다.

[김정은 / 북한 국무위원장 : 반갑습니다. 역사적인 장소에서 만나니까 또 대통령께서 분계선까지 나와서 맞이해주신 데 대해 정말 감동했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 여기까지 온 것은 위원장님의 아주 큰 용단이었습니다.]

이후 북미정상회담까지 성사되면서 한반도 평화는 그야말로 순풍에 돛을 단 듯했습니다.

그러나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한반도 평화 시계는 다시 거꾸로 돌기 시작했습니다.

급기야 남북연락사무소마저 폭파되면서 남북관계도 다시 얼어붙기에 이르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그러나 임기 마지막 해에 다시 한 번 남북관계에 대전환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을 그 계기로 삼겠다는 포부도 이미 밝힌 상황입니다.

[문재인 / 대통령 : 정부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에 발맞추어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한편 멈춰있는 북미대화와 남북대화에서 대전환을 이룰 수 있도록 마지막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미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남북관계 대전환의 출발점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미국 모두 일단 대화 테이블에 앉도록 하는 것이 1차 목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과 미국 모두에게 설득력 있는 제안을 하는 것 아니겠느냐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됩니다.

임기를 1년 남겨놓은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 대전환을 이루기 위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다음 주에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YTN 홍선기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매주 공개되는 YTN 알쓸퀴즈쇼! 추첨을 통해 에어팟, 갤럭시 버즈를 드려요.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