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中 시노팜 긴급사용 승인.."국내 도입 계획 없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보건기구, WHO가 중국 제약회사 시노팜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긴급 사용을 승인했습니다.
중국 제약회사 시노팜이 자사의 코로나19 백신 데이터를 제출한 지 넉 달 만에 세계보건기구가 긴급 사용을 승인했습니다.
시노팜은 현재 중국 외에 이란, 이집트 등 60여 개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긴급 사용이 승인되면서 백신 공동구매 국제기구 코백스 등을 통해 전 세계 배분이 가능해졌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세계보건기구, WHO가 중국 제약회사 시노팜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긴급 사용을 승인했습니다. 60여 개 나라에서 이 백신을 쓰고 있는데, 우리 방역당국은 중국 백신 도입 계획이 현재로서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베이징에서 김지성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 제약회사 시노팜이 자사의 코로나19 백신 데이터를 제출한 지 넉 달 만에 세계보건기구가 긴급 사용을 승인했습니다.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모더나 백신 등에 이어 세계 여섯 번째 승인입니다.
[거브러여수스/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 WHO(세계보건기구)로부터 안전성과 효능, 품질을 승인받은 여섯 번째 백신이 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시노팜 백신의 효능을 79%로 추정했고, 18세 이상 성인에게 접종을 권고했습니다.
다만 임상시험 데이터가 부족해 60세 이상에 대한 효능은 평가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시노팜은 현재 중국 외에 이란, 이집트 등 60여 개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긴급 사용이 승인되면서 백신 공동구매 국제기구 코백스 등을 통해 전 세계 배분이 가능해졌습니다.
백신 공급을 매개로 한 중국의 외교력도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중국 관영 CCTV : 중국은 국제 다자 체제를 통해 전 세계에 더 많은 백신을 공급해 백신 공급 부족을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중국의 또 다른 코로나19 백신인 시노백에 대해서도 긴급 사용 승인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우리 방역 당국은 현재로서는 중국 백신 도입 계획은 없다면서 시노팜 측에서 사용을 허가해달라는 신청도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 영상편집 : 전민규, CG : 이아름)
김지성 기자jisung@sbs.co.kr
저작권자 SBS & SBS Digital News Lab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