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 '택배 배송 갈등' 해법 없나?

김준범 2021. 5. 7. 21: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왜 접점을 못 찾는 건지, 해법은 없는 건지 하나씩 짚어 보겠습니다.

김준범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앞서 보도를 보면, 택배노조가 아직은 파업보다는 대화 쪽에 더 무게를 두는 분위기죠?

[기자]

네, 맞습니다.

더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일단은 대화를 하려고 파업을 결의했다, 이렇게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회사도 정부도 뒷짐만 지고 있으니, 파업 카드로 압박해야 겠다는 전략인거죠.

[앵커]

정부는 여기 어느 정도 반응하는 것 같은데 택배 회사 측은 지금 시점에선 대화할 의지가 없어보여요?

[기자]

택배 회사들은, 완강합니다.

우리나라 택배기사 대부분은 택배회사 직원이 아닙니다.

우유나 신문 배달처럼 중간에 대리점이 있고, 그 택배대리점들이 관할 지역을 맡고 있으니 대리점이 나설 문제라는 게 택배회사들의 입장입니다.

[앵커]

회사측이 그렇게 나오면 해결이 쉽지는 않겠네요?

[기자]

네, 정부가 일단 대화 분위기는 마련할 기조여서 당장의 파국은 없겠지만, 회사가 미온적이면 조속한 해결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해외로 눈을 좀 돌려보죠.

물류 배송 역사가 훨씬 긴 다른 나라들은 이런 문제가 없나요?

[기자]

그렇지 않아도 그 부분이 궁금해서 몇몇 전문가들에게 물어봤는데요.

유사한 사례 자체가 없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아파트 단지라는 자체가 외국에는 없는 매우 한국적인 거주 문화 잖아요.

일반 주택이나 빌라 중심인 외국에서는 ‘차량 출입 거부’라는 이슈 자체가 성립이 안 되는 거죠.

[앵커]

그럼 우리 안에서 해법을 만들어내야 하는건데 왜 이렇게 어렵습니까?

[기자]

이렇게 여쭤 보죠.

안전하게 걸어다닐 권리 vs 건강하게 일할 권리, 뭐가 더 중요할까요?

[앵커]

당연히 둘 다 중요하겠죠.

[기자]

맞습니다.

이 말은 양쪽 모두 어느정도 양보를 해야만 해결이 가능하다는 얘기겠죠.

사실 해법 후보들은 많이 나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택배 기사가 아파트 단지의 한 장소에 물품을 내려놓으면 별도 고용원이 세대 앞까지 배달하는 방법, 등하교 시간 등을 피한 특정 시간대에만 지상 출입을 허용하거나 시속 10km 이하 초저속으로만 운행하게 하는 절충안, 택배 기사가 단지 내부용 전동 카트로 짐을 옮겨서 배송하는 방법 등이 있고요.

관건은 서로가 손해를 감수하면서 실행하느냐 마느냐의 문제인 거죠.

[앵커]

관점을 바꿔서, 기술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요?

[기자]

국토부가 지난달에 연구 용역을 하나 시작했어요.

저상차이긴 하지만 차량 바닥을 확 낮춰서 택배 기사들이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일하는 저상형 전기트럭을 개발하는 방안인데, 사실 지금 갈등 상황에 딱 맞는 맞춤형 차량이죠.

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 중이기도 하고요.

문제는 아무리 빨라도 3년 뒤에나 시제품이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앵커]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잘들었습니다.

영상편집:권형욱/그래픽:최창준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