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추격에도..네이버 특허·R&D 여전히 우세

이대호 2021. 5. 6. 18: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035720)의 분기 실적 성장세가 무서울 정도다.

올해 1분기 들어선 네이버(035420)가 인건비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소폭 역성장한 것에 반해 카카오가 전년동기 대비 75% 성장하면서 격차를 좁혔다.

이 때문에 카카오가 네이버를 분기 실적으로 제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나, 뚜껑을 열고 보면 네이버를 마냥 얕잡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작년 말 양사 사업보고서를 보면 국내외 특허 등록건수 현황은 네이버가 2354개, 카카오가 640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분기 실적 급성장..네이버 턱밑
네이버, 특허·연구개발 분야서 카카오 몇 배 앞서
[이데일리 이대호 기자]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카카오(035720)의 분기 실적 성장세가 무서울 정도다. 작년 3분기부터 영업이익 규모가 분기 1000억원대로 올라서는 등 덩치를 키웠다. 올해 1분기 들어선 네이버(035420)가 인건비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소폭 역성장한 것에 반해 카카오가 전년동기 대비 75% 성장하면서 격차를 좁혔다.

이 때문에 카카오가 네이버를 분기 실적으로 제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나, 뚜껑을 열고 보면 네이버를 마냥 얕잡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회사의 성장 잠재력을 엿볼 수 있는 특허 개수와 연구개발비를 보면 여전히 양사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양사 사업보고서를 보면 국내외 특허 등록건수 현황은 네이버가 2354개, 카카오가 640개다. 국외만 보면 격차가 더욱 벌어진다. 네이버가 903개, 카카오 133개다.

특허는 기술과 연관돼 있다. 검색과 플랫폼, 모바일, 광고, 쇼핑, 인공지능(AI) 등 관련한 지식재산권이다. 이 부분에선 네이버가 카카오와는 비교 불가 수준으로 앞섰다.

상표권에선 카카오가 크게 앞선다. 카카오가 3743개, 네이버 887개다. 상표권은 말 그대로 상표에 대한 독점적 사용권이다. NAVER와 KAKAO가 두 회사의 대표적인 상표권이다.

작년 연결 기준으로 연구개발비 규모는 네이버가 카카오 대비 두 배를 훌쩍 넘긴다. 네이버와 카카오 각각 1조3321억원, 5354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네이버가 25.11%, 카카오가 12.9% 수준이다. 이 역시 네이버가 카카오의 두 배 수준이다.

작년 말 기준 사내 진행 중인 연구 프로젝트는 네이버가 133개, 카카오가 27개다. 완료한 프로젝트를 제외한 수치다. 네이버는 클라우드와 검색, AI, 데이터 전송 등 다방면 연구 프로젝트가 눈에 띈다. 카카오는 광고 효율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랩 관련 연구 프로젝트가 집중돼 있다. 네이버 대비 영업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 활동이다. 카카오의 실적 성장세도 카카오 비즈보드 등 광고 매출 증가와 연관돼 있다. 연구 프로젝트 성과가 빛을 발했다고 볼 수 있는 지점이다.

네이버는 올해 1분기 실적발표 설명자료에서 연구개발(R&D)에 3763억원을 썼다고 공개했다. 전년동기 4428억원 대비 감소한 수치다. 일본 라인과 야후재팬 간 경영통합에 따른 재무구조 분리 영향이다. 6일 카카오는 1분기 실적발표에서 R&D 비용을 따로 밝히지 않았다. 추후 공시할 분기보고서에 공개할 방침이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대호 (ldhdd@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