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물가 급등세, 금리 상승 없게 조기에 안정시켜야

2021. 5. 4. 21: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년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작황 부진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른 데다 국제유가 상승 기조에 코로나19 기저효과가 겹친 탓이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로 1년 전보다 2.3% 올랐다. 2017년 8월(2.5%)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이다. 물가상승률이 2%대에 진입한 것도 2018년 11월 이후 2년5개월 만이다. ‘물가상승률 2%’는 인플레이션 여부를 가르는 기준선이다.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는 연간 2%다. 이 상태가 장기화되면 통화당국이 금리 인상에 나설 수밖에 없다.

장바구니 물가는 이미 인플레이션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봐도 틀리지 않을 상황이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파를 직접 심는 ‘파테크’까지 하게 만들었던 대파 값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줄었지만 여전히 1년 전의 3배에 가깝다. 계란값도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산란계가 부족해져 40% 가까이 올랐다. 코로나 속 가계의 식료품 비중이 늘어난 상황에서 장바구니 물가가 고공행진하니 서민 고통이 클 수밖에 없다. 국제유가가 석유류·공업제품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고, 외식물가도 뛰고 있다. 전·월세도 치솟아 특히 4월 월세 상승률(0.7%)은 2014년 10월 이래 가장 높다.

정부는 지난해 코로나19로 물가 수준이 이례적으로 낮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로, 하반기엔 안정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지만 우려는 지울 수 없다. 지난해부터 시중에 많이 풀린 돈이 물가 상승을 압박하고 있다. 정부의 재정 지출과 신용팽창으로 유동성이 풍부한 데다 ‘보상소비’가 유행할 정도로 억눌렸던 소비지출이 꿈틀거리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금리 상승 압력을 높이게 된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을 자제하겠지만 실세금리는 오름세로 돌아설 수밖에 없다.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98.6%(지난해 2분기 기준)에 달해 금리 상승의 충격은 커질 수 있다. 코로나19 위기에 대출로 버텨온 영세기업·자영업자·소상공인들과 취약계층에 부담이 집중될 것이다. 한국금융연구원 분석에서 지난해 소득 1분위(하위 20%)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1.16%로 소비자물가 상승률(0.54%)의 2배에 달했다. 경기 회복의 온기를 누리지 못하는 저소득층·취약계층은 물가 상승이 고통 그 자체다.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뛰어야 한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