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는 없고 집값은 오르고"..부산 인구 석달만에 4700명 유출 [방방콕콕]
일자리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청년이 대부분
집값 급등 영향 경남으로도 빠져나가
9년 동안 16만명 줄어 지난해 340만명도 깨져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청년층이 급증하면서 이들을 붙잡기 위해 부산시가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청년들의 '탈부산'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여기에다 최근 부산 집값이 급등하면서 경남으로 빠져나가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의 '2021년 3월 국내 인구이동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월 부산의 총전입자 수와 총전출자 수는 각각 12만9822명과 13만4523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부산의 순유출 인구는 4701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순유출 인구(2000명)보다 135.1% 급증한 것이다.
올해 1분기 부산의 인구는 서울로 2279명이 순유출돼 가장 많았으며 이어 경기도로 1847명이 순유출됐다. 인천으로는 106명이 빠져나갔다. 이에 따라 수도권으로 빠져나간 인구는 4232명에 달했다. 지난해 4분기(2843명)와 비교하면 1400명 가까이 많아졌다. 특히 부산 20~29세 순유출 인구는 1146명으로 지난해 1분기(92명 순유출)보다 12.5배 급증했다.
더 큰 문제는 수도권 뿐만 아니라 인근 도시인 경남으로도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1분기 경남으로 순유출된 부산 인구는 929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에는 경남 인구 68명이 부산으로 순유입됐지만, 1년 만에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부산 집값이 급등하면서 상대적으로 아파트 가격이 저렴한 양산과 김해로 이사를 갔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말 기준 부산인구는 340만 명대가 무너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부산의 주민등록인구는 339만 1946명으로 전년도 말(341만 3841명)보다 2만 1895명 감소했다.
부산의 주민등록인구(12월 31일 기준)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1년 355만 명대(355만 963명)에서 5년만인 2016년(349만 8529명)에 350만 명대가 깨진데 이어 4년만인 2020년 340만 명대가 무너지는 등 부산의 '인구절벽'이 가속화하고 있다. 2011년 대비 2020년 부산인구는 9년 만에 15만 9017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대에 사는 취업준비생 이 모 씨(27)는 "부산시가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현금을 지원하는 등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좋은 일자리가 있으면 부산을 떠나는 청년이 없을테니 좋은 기업을 부산에 유치하는 것이 인구 유출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 '방방콕콕'은 전국 방방곡곡에서 발생하는 따끈따끈한 이슈를 '콕콕' 집어서 전하기 위해 매일경제 사회부가 마련한 코너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소식부터 지역 경제 뉴스, 주요 인물들의 스토리까지 다양한 소식을 전하기 위해 현장에서 열심히 발로 뛰겠습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드디어 신혼여행가요, 해외로"…백신 맞은 부부들 신났다
- 열명 중 여섯은 모른다…국민연금 부부 월 70만원 이상 땐 세금
- 해수부 장관 후보자 부인, 영국서 구입 도자기 `불법 판매` 의혹
- 한강공원 사망 대학생 부검…"머리 상처, 직접 사인 아냐"
- 허은아 "TBS, 김어준 출연료 `하루 200만원` 주려고 규정 바꿔"
- [인터뷰①] ‘연인’ 안은진 “남궁민=남궁장현, 애틋한 멜로 파트너”
- 그리스 男사제는 왜 여자처럼 행동했을까 [강영운의 ‘야! 한 생각, 아! 한 생각’]
- ‘사실상 열애’ 블핑 리사·재벌 2세, 파리가 만남의 광장? 이번엔 이강인 경기 관람[MK★이슈] -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남태현과 마약’ 서민재 “나와 가족 직업·명예 다 잃어”(‘추적 6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