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팔거산성서 7세기초 신라 목간 11점 첫 출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 팔거산성에서 7세기 초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목간(木簡·나무막대로 제작한 문서) 11점이 출토됐다.
28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화랑문화재연구원이 최근 팔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 11점에 대해 적외선 사진촬영을 실시한 결과 11점 중 7점에서 글자가 발견됐다.
신라시대 왕경(王京)인 경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자리 잡은 팔거산성에 군사기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곡식이름 등장.. 물류 거점 가능성
28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화랑문화재연구원이 최근 팔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 11점에 대해 적외선 사진촬영을 실시한 결과 11점 중 7점에서 글자가 발견됐다. 1호 목간에선 ‘壬戌年’(임술년), 6호 및 7호 목간에서는 ‘丙寅年’(병인년) 글자가 각각 확인됐다. 주변 유물과 문헌을 검토한 결과 임술년은 602년, 병인년은 606년으로 각각 추정됐다. 연도를 추정할 수 있는 이른바 ‘간지(干支) 목간’은 유적 연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돼 의미가 적지 않다.
보리와 벼, 콩과 같은 곡식 이름도 목간에서 확인됐다. 이는 조세 등 물자가 팔거산성에 집중되었음을 보여주는 근거다. 신라시대 왕경(王京)인 경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자리 잡은 팔거산성에 군사기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팔거산성은 금호강과 낙동강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7세기 초반 신라 왕경 서쪽을 방어하기 위한 전초기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태언 기자 bebor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순덕 칼럼]중국 앞에만 서면 文은 왜 작아지나
- 겸재 단원 모네 샤갈… ‘이건희 컬렉션’ 올여름 시민에 공개전시
- [속보]수도권 11만호 신규택지 발표 연기…“투기조사 먼저”
- 울산-대전에 1만8000채 초미니 신도시
- 닻 올린 국민의힘 당권 경쟁…변수는 윤석열 [고성호 기자의 다이내믹 여의도]
- [속보]대법 “옛 통진당 의원들, 의원직 회복 불가”
-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 변협회장 “이성윤 수장 될 자격 없다”
- 이재명 “윤석열, 원칙 따라 잘했다” 평가에…친문 누리꾼 분노
- 황운하, 당선무효 소송 승소…의원직 유지
- [속보] 바이든 “북·이란 핵 프로그램 심각한 위험…동맹국과 협력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