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백제 방어 마지노선 팔거산성에서 목간 첫 출토
제작년 간지 명시, 602년, 606년 목간 추정
군량미 추정 글씨, 나머지는 의미해석 중
대구시 북구 노곡동 위치, 인근엔 구암동 고분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대구 팔거산성이 7세기 삼국 경쟁시대때 신라의 백제 방어 마지노선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굴됐다.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재단법인 화랑문화재연구원(원장 오승연)이 발굴조사 중인 팔거산성에서 7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목간 11점이 대구 지역에서 최초로 출토됐다. 현장 설명회는 28일 오전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현재까지 발견된 목간 11점을 인수받아 적외선 사진 촬영을 진행하고, 두 차례의 판독 자문회의 등 기초 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11점 가운데 7점에서 글자가 보이고, 그 중에는 제작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간지(干支)와 곡식 이름도 등장한다.
8점의 목간에선 한쪽에 끈을 묶기 위해 나무를 잘라내었으며, 일부 목간에는 실제로 끈을 묶었던 흔적도 발견했다. 4점의 목간에서는 크게 3종류의 간지가 발견되었으며, 임술년(壬戌年)과 병인년(丙寅年) 그리고 글자가 있는 부분이 파손되어 간지 중 두 번째 글자 일부와 세 번째 글자 ‘년(年)’만 보이는 사례가 등장한다. 임술년과 병인년은 각각 602년과 606년으로 추정되며, 이는 목간을 작성한 시점으로 여겨진다.
또한, 보리(맥, 麦)와 벼(도, 稻), 콩(대두, 大豆)이라는 곡식 이름이 등장하는데 이는 당시 산성에 물자가 집중된 상황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산성의 행정 또는 군사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
목간이 담고 있는 내용이 곡식과 관련된다는 점, 삼국 시대 신라의 지방 거점이 대부분 산성이었다는 점, 기존 신라 목간이 출토된 곳이 대부분 군사와 행정 거점이라는 점에서 팔거산성도 다른 출토 지역과 마찬가지로 지방에서 군사적으로 중요하면서 물자가 집중되던 거점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목간이 제작될 무렵인 7세기 초반부터 백제는 본격적으로 신라를 침공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국제정세 속에서 신라의 서쪽지방 방어가 중요해졌고 낙동강과 금호강의 합류 지점 인근에 자리하면서 그 주변의 수로나 육로를 통제하던 팔거산성의 입지나 기능이 주목되었을 것이다.
신라는 642년 백제에 대야성(경남 합천)을 잃은 이후, 군사‧ 행정 거점을 신라 왕경과 가까운 압량(경북 경산)으로 옮겼다.
신라 서쪽 지역에서 왕경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오늘날 낙동강을 통해 대구-경산-영천 지역을 거친다는 점에서 그 이전부터 압량은 왕경 방어에 중요한 지점으로 여겨졌을 것이라고 발굴팀은 추정했다.
이 경로 가운데 가장 서쪽에 있는 팔거산성은 금호강과 낙동강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7세기 초반 무렵, 신라 왕경 서쪽 방어를 위한 전초기지였을 가능성도 제기할 수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대구에 있었던 지명으로 팔거리현(八居里縣)이 등장하는데, 이곳은 그동안 현재 팔거산성이 위치한 대구 칠곡 지역을 가리킨다고 막연히 추정해 왔다. 그런데 이번에 새롭게 출토된 목간을 통해서 대구 칠곡 지역을 중심으로 금호강 하류지역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역을 통제하던 곳이 팔거산성이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목간에는 왕사(王私)와 하맥(下麦)이라는 표현도 등장하는데 이들 표현의 정확한 의미는 아직까진 추정이 어렵다.
그런데 ‘왕사(王私)’의 경우, 기존 경남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에 보이는 왕송(王松)과 동일한 표현으로 추정했으나 두 차례에 걸친 판독조사 결과, ‘송(松)’을 ‘사(私)’로 수정해야 함을 밝혀냈다. 다만 ‘왕사(王私)’, ‘하맥(下麦)’의 의미 해석은 앞으로의 추가적인 연구과제다.
대구 팔거산성은 대구광역시 북구 노곡동 산1-1번지 일원에 자리하며, 인근에는 지난 2018년에 사적으로 지정된 구암동 고분이 있다. 이 산성은 대구광역시 북구청에서 정비복원의 고고학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15년의 지표조사, 2018년의 시굴조사를 거쳐 2020년 10월부터는 학술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서 석축(石築) 7기, 추정 집수지(集水池) 2기, 수구(水口: 성내의 물을 흘려 내보내기 위한 시설물) 등의 유구가 발견되었다. 석축은 조사지역 북쪽 경사면에 조성되었으며, 일부 유구가 중복되어 있어 석축 사이에 축조 순서 또는 시기 차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집수지는 남반부 평탄면에 조성되었는데, 추정 집수지 1호는 돌, 2호는 목재를 사용하여 조성되었다.
특히, 신라 목간이 출토된 추정 집수지 2호는 길이 7.8m, 너비 4.5m, 높이 약 3m 이며, 면적은 35.1㎡이고 저수 용량은 약 10만 5300다. 먼저 남북으로 경사지게 땅을 파고 목재 구조물을 설치한 후 돌과 점토를 사용해 뒤를 채웠다. 목재 구조물은 바닥에 기초목(基礎木)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옆으로 판재(板材)를 설치했다.
abc@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前프로야구 선수 임창용 사기 혐의 검찰 송치
- “22층까지 걸어서 올라와!”…배달 갑질 우는 라이더
- [영상] “저속하다”…‘시진핑 모교’ 개교기념 섹시댄스 논란
- “초콜릿보다 더해?” 중독성 높은 음식 1위[식탐]
- 한예리 드레스가 中 치파오?…美 보그는 베스트 드레스 선정
- “기다렸다 화이자로”…‘AZ 접종기피 확산’ 차단 팔걷은 정부
- ‘코로나19 확진’ 변정수 “호전 느껴져…의료진께 감사”
- “우리 떡볶이 레시피 훔쳤잖아”…3년째 소송 중인 로제떡볶이 [언박싱]
- 오스카 품은 윤여정 ‘스웨그 백’ 받는다…선물 2억원어치
- 이석원, 윤여정 언급한 조영남 두고 “벌레보다 못한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