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꿈쩍도 않는데.. 文 "다시 대화의 시간 다가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4·27 남북정상회담 3주년인 27일 "판문점선언의 토대 위에서 불가역적인 항구적 평화로 나아가야 한다. 이제 오랜 숙고의 시간을 끝내고 다시 대화를 시작해야 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을 한 달여 앞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에 대한 의지를 또다시 내비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 의지 또 비쳐
한·미정상회담 돌파구 역할 기대
美, 다른 대북 접근에 엇박자 우려
이인영,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 강조
개성공단기업協, 재개 촉구 회견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4·27 회담 때) 도보다리 풍경이 아직도 눈에 선하지만, 하노이 북·미회담 결렬 이후 교착 상태가 장기화되고 있어 매우 안타까운 심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진통을 겪으면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평화의 시계를 다시 돌릴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판문점선언은 누구도 훼손할 수 없는 평화의 이정표”라고 규정하면서 “어떤 경우에도 판문점선언이 약속한 평화의 길을 되돌릴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되돌릴 수 없는 수준으로 올려놓기 위해서는 평화의 제도화가 필요하다”면서 판문점선언의 국회 비준 동의 등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개성공단기업협회는 4·27 판문점선언 3주년을 맞은 이날 남북출입사무소 게이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성공단 재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재철 협회장은 “기업들의 피해는 시시각각 가중돼 재난 상황은 한계치를 넘어선 지 오래됐다”며 “남북은 개성공단을 조건 없이 즉시 재개하고, 설비 관리와 공단 재가동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개성기업인들의 공단 방문을 즉시 허용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도형·이정우 기자,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공동취재단 scope@segye.com
Copyright©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