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에 군수물자 댄 현건·현덕승, 오간 편지들 국보 지정

2021. 4. 27. 0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의 현건(1572~1656), 현덕승(1555~1627)은 민간의 리더로서 충무공 부대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는 군수 업무를 자발적으로 도맡았다.

영암 구림에 입향한 현윤명의 증손자 현건(1572~1656)은 먼저 살고 있던 다른 가문이 창립한 구림 대동계가 전쟁의 혼란 등으로 힘겨워지자, 이를 재건해 동장으로 추대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00년 구국과 나눔의 구림대동계 재건,계승
신분 구분 없이 모두 참여한 민주자치 450년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의 현건(1572~1656), 현덕승(1555~1627)은 민간의 리더로서 충무공 부대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는 군수 업무를 자발적으로 도맡았다.

충무공의 인척이기도 했기에, 집안살림을 쾌척하는 것은 물론 대동계의 리더로서 나라를 지키기 위한 지역공동체의 수군 지원 조달캠페인을 이끌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종가 입구에 세워진 충무공의 ‘약무호남 시무국자’ 표석

이들은 충무공과 수많은 편지 소통을 했는데, 이순신장군의 친필 편지를 모은 ‘서간첩’은 국보 76로 지정돼 있다. 현씨 가문에서 장군을 후손에게 전해준 이 편지모음은 현재 현충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편지중에는 그 유명한 ‘若無湖南 是無國家(약무호남 시무국가: 호남이 없다면, 나라도 서지 못한다)’는 내용도 기록돼 있다. 종가는 이 글귀를 종택 입구에 큰 표석으로 세웠다.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회사정. 구림 대동계의 중심 시설로서 구국과 지역발전을 위한 크고 작은 회합과 행사가 열렸던 곳이다. [남도일보]

영암 상대포와 구림마을은 이 고을을 대표하는 찬란한 문명의 국제 전파, 더불어 함께 잘 잘기 위한 대동계의 표상이다.

영암 구림에 입향한 현윤명의 증손자 현건(1572~1656)은 먼저 살고 있던 다른 가문이 창립한 구림 대동계가 전쟁의 혼란 등으로 힘겨워지자, 이를 재건해 동장으로 추대됐다.

상대포구의 상대정. 왕인박사,도선국사, 충무공의 자취가 남은 곳이다. 국제무역 중심, 청해진 관문이기도 했다. 배는 왕인 박사 일행이 일본에 문물을 전하기 위해 타고갔던 배 모형. [남도일보]

종가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수군에 전쟁 물자를 공급했으며, 전후에는 주민의 ‘화민성속(化民成俗·백성을 교화하여 좋은 풍속을 이룸)’과 교육에 힘썼다. ‘연주현씨 사직공파 종가’는 전남 영암군 군서면의 구림마을에 뿌리내려 이웃과 400년 동고동락했다.

연주현씨는 조위총의 난을 평정한 평안도 영변의 호족 현담윤을 시조로 삼으며, 12대손 현윤명(1420~?)은 1450년경 천안에서 영암 구림으로 내려와 3대 현감 집안 난포박씨와 혼맥을 맺으면서 사직공파 종가를 열었다.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 종가 모습

당시 구림마을은 진도·완도·제주로 가는 바닷길목이자 일본·중국으로 통하는 국제 포구였던 ‘상대포’를 끼고, 도예 가마터 등 산업단지를 품었다.

‘낭주골 처녀’ 노래에 나오는 낭주최씨를 비롯, 죽정서원의 함양박씨, 서호사의 창녕조씨, 동계정의 해주최씨 등 성씨들이 부락을 이루었는데, 그 중 나주목사를 지낸 선산 임씨 임구령이 입향해 간척으로 조성한 ‘지남들’ 농토가 마을의 경제기반이 된다. 선산임씨 장남 임호(1522~1592)와 함양박씨 박규정(1498~1580) 등이 중심이 돼 1565년 구림대동계를 창립한다.

영암 연주현씨 사직공파의 죽림정. 숙종이 하사한 회화나무가 있다. [남도일보]

현건이 동장을 맡던 전쟁 후의 구림대동계는 달라진다. 1609년(광해군 원년)에서 1747년 사이에 작성한 구림동헌(鳩林洞憲)과 동계(洞契) 문서를 보면, 동계규약은 도로 보수·산림 보호·교량 건설 등 전후 복구와 마을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구림대동계는 사대부의 ‘향규’와 하층민의 ‘촌계’를 일원화해 지역사회 구성원 전원을 참여시켰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이같은 민주적 자치체제의 정신은 450여년 지속되고 있다.

현건의 손자로서 광릉참봉을 지낸 현징(1629~1702)은 왕인박사가 배웠다는 ‘문산재’ 서당을 복원하고 학당을 열고 전라도 서남권 인재들을 가르쳤다. 내동리에 있던 취음정을 옮겨지었는데 1678년 영의정 김수항이 ‘죽림정’이라 이름짓고 중림정기를 남겼다.

구국과 나눔의 뜻이 서린 ‘백성와 화합하고 풍속을 발전시키라’는 의미의 구림대동계의 교훈 표석이 연주현씨 종가에 세워져 있다.

종택 입구에는 수령 250년된 팽나무 두그루가 대문을 대신하고 대나무, 소나무, 벽오동, 동백나무, 회화나무 등이 죽림정을 포근하게 감싼다.

abc@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