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자본이득세 인상 우려에 하락..다우 0.94%↓

김승한 2021. 4. 23. 06: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증시는 주간 실업 지표 개선에도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바이든 행정부의 자본이득세 인상안에 대한 우려로 하락했다.

2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1.41포인트(0.94%) 하락한 3만3815.90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8.44포인트(0.92%) 하락한 4134.98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31.81포인트(0.94%) 떨어진 1만3818.41을 나타냈다.

전날 3대 지수는 3거래일 만에 반등에 성공했으나 하루 만에 반락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개장 초 코로나19 확진자 추세와 미국 주간 실업 지표 등을 주시했다. 이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본이득세 인상안을 제안할 것이라는 소식에 주가는 아래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블룸버그 뉴스와 뉴욕타임스 등 외신들은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든 대통령이 100만달러 이상의 고소득자에 대해 자본이득세를 현행 20%에서 39.6%로 인상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기존 투자 소득세를 포함하면 세율은 최대 43.4%까지 높아질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다음주 28일 예정된 의회 연설에서 1조달러 규모의 '미국 가족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자본이득세 인상 제안은 미국 가족 계획의 재원 마련 방안 중 하나로 알려졌다.

전 세계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는 소식도 투자 심리를 악화시켰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투자 심리를 개선하지는 못했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 실업수당 청구자수가 전주보다 3만9000명 줄어든 54만7000명(계절 조정치)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2020년 3월 14일 주간의 25만6000명 이후 가장 낮다.

한편 유럽중앙은행(ECB)은 이날 기준금리와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현 상태로 유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ECB가 이날 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왔다.

개별 종목 중에 아메리칸항공이 12억500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4% 이상 떨어졌다.

통신업체 AT&T는 분기 주당순이익(EPS)이 86센트로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해 주가가 4% 이상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10.3%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23포인트(7.03%) 오른 18.81을 기록했다.

[김승한 기자 winone@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