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고소득자 자본이득세율 두 배 인상"..美증시 '출렁'

류정훈 기자 2021. 4. 23. 06:2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밤사이 뉴욕증시는 바이든 대통령이 고소득층의 자본이득세율을 두 배가량 인상할 것이란 소식에 크게 흔들렸습니다.

류정훈 기자, 자본이득세율이 구체적으로 얼마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나요?

[기자]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부유층에 대한 자본이득세율을 현행 20%에서 39.6%로 두 배 가까이 인상할 방침입니다.

자본이득세는 주식이나 채권 매매로 얻은 수익에 매기는 세금인데요.

대상자는 연간소득이 100만 달러가 넘는 고소득자들입니다.

이렇게 해서 늘어난 세수는 1조 달러 규모의 인적 인프라 투자계획, 일명 '미국 가족계획'의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인데요.

다음 주 투자계획 발표와 함께 증세 계획도 공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소득 수준에 따라 세율이 50%를 넘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죠? 

[기자]

그렇습니다. 

블룸버그는 기존 투자소득에 대한 부가세까지 합치면 투자자에 대한 연방 세율이 43.4%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세율이 높은 주에 거주하는 백만 달러 소득자의 경우 자본이득세율이 50%를 초과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뉴욕의 경우 주 세율과 연방 자본이득세율을 합할 경우 52%가 넘고, 캘리포니아는 56.7%까지 높아진다고 전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동안 부유한 개인이 중산층 근로자보다 낮은 세율을 적용받는 게 불공평하다며, 고소득자들을 대상으로 자본이익과 소득세율을 공평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해왔습니다.

[앵커]

증세 계획에 대한 반발은 없나요?

[기자]

바이든 행정부의 증세안이 잇따라 나오면서 최근 코로나19 이후 반등한 경기 회복세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당장 공화당은 "현행 조세안이 저축을 장려하고 미래 경제성장을 촉진한다"며 변화를 거부하고 있고요.

민주당 내부에서도 부담이 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코네티컷주 민주당 주지사는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고, 코네티컷으로 유입되는 회사들도 있는데 이들의 추진력을 멈추고 싶지 않다"면서 "지금 당장은 큰 세금인상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SBS Biz 류정훈입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