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 한줄] 목공을 왜 하는지 물으신다면

김기중 2021. 4. 23.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살아있는 나무가 싱싱함과 힘을 보여준다면, 자라지 않는 나무는 무던함과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취미로 목공을 한다 하면, 사람들은 종종 묻는다.

이런 까닭에 나는 주말이면 목공방으로 향한다.

목공을 왜 하는지 궁금한 이들에게 좋은 답이 될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나무가 싱싱함과 힘을 보여준다면, 자라지 않는 나무는 무던함과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나무를 켜고 자르고, 문지르고 이어가는 경험을 통해 이윤이 주는 흥분보다 만족이 주는 절제가 소중함을 깨달았다.(6쪽)

취미로 목공을 한다 하면, 사람들은 종종 묻는다. 왜 하느냐고. 차라리 사는 게 낫지 않느냐고. 맞는 말이다. 목재 가격이 아무리 저렴해도 내 인건비를 더하면 가구점에 가 사는 게 훨씬 낫다. 내가 만든 가구의 완성도 역시 그보다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 과정의 재미는 돈으로 셈하기 어렵다. 다른 것에 신경 쓰지 않고 오로지 나무에만 집중하는 재미는 겪어 보지 않으면 잘 모른다. 가끔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감각마저 날아가는 경험을 하는데, 그 순간은 경이로울 지경이다.

목재를 고르고 자르고 조립하고 마감하는 긴 시간을 응축한 이 결실을 집으로 가져올 때의 기쁨도 크다. 어딘가는 빈틈이 보이고 썩 잘난 모습이 아니라도 가족은 보잘것없는 결과물을 아껴 준다. 그리고 가구는 기꺼이 집의 일부가 된다. 이런 까닭에 나는 주말이면 목공방으로 향한다. ‘자라지 않는 나무의 모험’(아마디아)은 취미 목공인의 마음을 풀어낸 에세이집이다. 목공을 왜 하는지 궁금한 이들에게 좋은 답이 될 것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