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주리고 난민되고..쿠데타 미얀마 '파탄국가' 잇단 경고음

김남권 2021. 4. 22. 18: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월1일 군부 쿠데타 이후 80일 가량이 지났음에도 유혈 사태가 끊이지 않는 미얀마에 대해 '파탄국가'로 갈 수 있다는 경고음이 잇따라 울리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22일 쿠데타 이후 유혈 사태가 계속되고 있는 미얀마에서 300만명 이상이 굶주림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식량계획 "340만명 6개월 내 굶주림"..25만명 난민 우려도
세계은행·유수 컨설팅업체는 "미얀마 경제 올해 10~20% 후퇴"
셔터를 내린 양곤 미야와디 은행의 ATM에서 현금을 찾는 시민들.[AFP=연합뉴스 자료사진]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2월1일 군부 쿠데타 이후 80일 가량이 지났음에도 유혈 사태가 끊이지 않는 미얀마에 대해 '파탄국가'로 갈 수 있다는 경고음이 잇따라 울리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22일 쿠데타 이후 유혈 사태가 계속되고 있는 미얀마에서 300만명 이상이 굶주림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WFP는 웹사이트를 통해 기존 빈곤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그리고 현재 정치적 위기 등 '3중고'로 인해 굶주림 사태가 미얀마 전역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WFP는 그러면서 향후 6개월 내로 340만명 이상이나 되는 시민들이 굶주림에 직면할 것이며, 이는 특히 도시 지역이 더 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WFP 미얀마 지부 책임자인 스티븐 앤더슨은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잃으면서 식량을 살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식량을 구하지 못하는 우려스러운 상황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결연한 대응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WFP에 따르면 최대 도시 양곤 및 그 주변에서 끼니를 거르거나 먹는 것이 부실한 상태로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가족들이 나타나고 있다.

WFP는 최근에도 보고서를 통해 미얀마 전역에서 쌀값이 1월 이후로 평균 5% 올랐다고 밝혔다. 식용유 평균 가격도 2월 이후 18% 올랐다.

앞서 세계은행은 지난달 하순 올해 미얀마 경제가 10% 뒷걸음질 칠 것으로 전망했다.

군경의 무차별 폭력 및 인터넷 차단은 물론, 반군부 거리 시위와 시민불복종 운동을 통한 은행과 물류 등 주요 공공서비스 차질 등이 원인으로 거론됐다.

신용평가회사 피치그룹 산하 컨설팅업체 피치솔루션스는 이달 초 보고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미얀마 경제가 올해 20% 뒷걸음질 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면서 시위세력 및 소수민족 무장단체가 연합한 반군부 무장세력과 군부간 무장 충돌이 예상된다면서 미얀마가 '파탄 국가'를 향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톰 앤드루스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은 21일 SNS에 "소식통에 따르면 군부 공격으로 거의 25만명 가까운 미얀마 국민이 난민 신세가 됐다"면서 "전 세계는 이 인도주의적 재앙을 해결하기 위해 즉시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south@yna.co.kr

☞ '이병헌 동생' 이지안 반려견 무슨 일?…"범인 꼭 잡겠다"
☞ '귀엽고 재치 있는 한국 할머니' 윤여정 기다리는 오스카
☞ 지하철 에스컬레이터에서 여성에게 자신의 체액을…
☞ 페북에 보도자료로…부인 갑질 대리사과한 벨기에대사
☞ 정청래 "김어준, 천재성으로 청취율 1위" 찬사
☞ 에루샤 사려면 이정도 쯤이야…그들이 뜀박질해 사는 이유
☞ 박원순이 임명한 서울시 산하재단 대표 '성추행 피소'
☞ '소녀상에 일제 패딩' 범인 잡고보니 놀라운 사실
☞ 멍멍 도와주세요…주인 쓰러지자 이웃 불러와 구조
☞ AI 기술로 다시 '살아난' 아내…98세 남편 감격의 눈물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