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인니 잠수함 구조 나선다.. 통영함·소해함 투입될 듯

노석조 기자 2021. 4. 22. 17: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욱 국방부 장관과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국방부 장관이 지난 8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국방장관 회담에 앞서 의장대 사열을 하고 있다. /국방일보

서욱 국방부 장관이 22일 인도네시아 해군의 잠수함 구조지원 요청이 있으면 언제든지 출항이 가능하도록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도록 지시했다.

국방부는 “인도네시아는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기반한 주요 국방·방산 협력국가”라며 “인도네시아측의 요청이 있을 경우 모든 가용한 수단을 동원하여 인도네시아 국방부의 탐색 및 구조 활동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전날 인도네시아의 잠수함 조난사고 발생 사실을 인지한 직후, 외교채널을 통해 인도네시아 국방부측에 구조지원 의사를 전달했다.

인도네시아 측은 구조의 시급성을 고려해 일단 싱가포르 등 인근 국가에 지원을 요청했다. 한국측 지원 의사에 대해서는 인도네시아 군이 내부 검토 후에 입장을 알려주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요청이 올 경우 잠수함 등의 구조함인 통영함과 기뢰 탐지·제거가 가능한 소해함 등이 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통영함에는 원격무인잠수정(ROV)이 탑재돼 있으며, 심해로 내려가 조난 잠수함의 위치 등을 식별한다.

인도네시아 해군 함정 'KRI 싱가'가 22일(현지시간) 동자바주의 반유왕이 항구에서 실종된 해군 잠수함 'KRI 낭갈라 402호'의 수색 작전에 참여하기 위해 출항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전날 발리섬 인근 해역에서 53명을 태우고 훈련하던 독일제 잠수함 낭갈라함과 연락이 두절돼 수색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해군 등에 따르면, 53명이 탑승한 해군 잠수함 ‘낭갈라’(Nanggala·402)함은 지난 21일 오전 3시쯤 발리섬 인근 해역에서 실종됐다. 인도네시아 군 당국은 최대 잠수 가능 깊이가 200여m인 낭갈라함이 해저 600∼700m에서 마지막으로 포착됐다고 했다.

낭갈라함은 40년 전인 1980년 건조된 독일산 재래식 1400t급 잠수함이다. 대우조선해양이 9년 전인 2012년 성능개량 작업을 해 준 것이기도 하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