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리 더디냐" 불만..백신 접종 '가속페달' 못 밟나, 안 밟나

최하얀 2021. 4. 22. 17: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세계 대유행]내달부터 화이자 늘어..정부 "속도 올린다"
350만명분 중 절반은 6월에 들어올 물량
끊어서 공급되는 탓에 개개인 일정 불투명
22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서귀포의료원에 마련된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고령자들이 예방접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달 초 시작된 75살 이상 고령층 대상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두고 현장에서 “접종 일정을 알 수 없다”거나 “접종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현재 4~6월 접종 계획에 차질이 없으며, 5~6월 백신 도입 물량에 맞춰 예방접종센터 등이 추가 개소되면 접종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75살 이상에 사용할 350만명분의 화이자 백신 물량 중 46%(162만명분)가 6월이 되어야 들어온다. 현재 개개인이 궁금해하는 접종 일정이 얼마나 빨리 명확해질지는 일부씩 단계적으로 들어오는 5~6월 물량의 도입 속도가 관건이다.

2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전날 하루 동안 13만1228명이 1차 접종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1차 접종자는 190만3767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3.7%다. 2차 접종자는 누적 6만622명이다. 오후 6시 기준으론 1차 접종자 수가 200만명을 넘어섰다. 추진단은 “하루 접종자 수가 지난 16일 10만명대를 돌파한 뒤 하루 12만∼13만명 수준으로 접종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는 75살 이상 접종을 시작한 지난 1일 접종자 수(4만4628명)의 세 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런 설명에도 화이자 백신을 접종하는 75살 이상 고령층을 중심으로 ‘차례가 빨리 오지 않아 답답하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75살 이상 접종 동의자 276만3802명(노인시설, 요양병원·시설 입소자 이용자 제외)에 대한 접종은 지난 1일 시작했다. 이날까지 1차 접종자는 60만3862명으로 접종률은 17.3% 정도(접종 대상자 기준)다. 정부는 2분기(4∼6월) 90여일에 걸쳐 75살 이상 접종을 진행할 계획인데, 지역별·연령대별로 접종일 차이가 나면서 당장 접종예정일을 받지 못한 이들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엔, 1분기 대상자들의 접종률이 90% 안팎에 이르고, 2분기 접종은 ‘희귀 혈전증’ 논란 속에 중단됐다가 재개된 지 열흘밖에 되지 않아 ‘속도가 느리다’는 불만이 상대적으로 적다.

화이자 접종이 대기자들의 기대만큼 속도가 나지 않는 이유는, 제약사 쪽에서 물량을 조금씩 끊어서 국내로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반기 도입이 확정된 화이자 백신은 모두 350만명분(700만회)이어서, 75살 이상 고령층 전체(350만명)가 2차 접종까지 완료하기에 물량이 부족하지 않다. 그러나 이 가운데 3월과 4월 도입분이 각 50만명분에 그치고 5월에 87만5천명분, 6월에 162만5천명분으로 물량이 뒤로 갈수록 늘어난다. 이달에는 매주 수요일마다 12만5천명분(25만회)씩 끊어서 공급되고 있다.

보관이 까다로운 화이자 등 엠아르엔에이(mRNA)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 필요한 예방접종센터는 이런 공급 일정에 맞춰 순차적으로 개소하고 있다. 김기남 추진단 예방접종관리반장은 이날 “지역별로 접종센터를 운영하려면 시설을 확보해야 하고 그에 맞는 의사, 간호사, 행정인력 등 많은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백신 도입 일정에 맞춰 적정 수의 센터를 개소하는 계획을 추진해왔다”고 말했다. 백신 350만명분을 미리 받아놓고 접종을 시작하는 게 아닌 터라 접종센터를 한꺼번에 개소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정부는 화이자 공급량 확대에 맞춰 예방접종센터를 늘려갈 계획이다. 이달 말까지 시·군·구에 적어도 한 곳 이상씩 센터를 열어 264개의 센터를 운영한다. 이날 기준으로는 204곳이 운영 중이다. 이날부터는 1차와 3주 간격인 화이자 2차 접종도 시작됐다.

26일부터는 1만7천여곳 위탁의료기관에서 보건의료인, 만성신장질환자, 경찰관 등 사회필수인력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도 시작된다. 국제적인 수급 불안으로 5∼6월 도입 예정인 백신마저 도입이 불투명해진 것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와 관련해,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지금까지 제약사가 계약을 위반해 공급을 지연한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