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 끝에서 마주한 붓꽃..삶을 향한 처절한 열망이었다

2021. 4. 22. 17: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명옥의 명작 유레카
빈센트 반 고흐 '붓꽃-아이리스'
정신병원에 제 발로 들어간 고흐
'행운' 꽃말 지닌 붓꽃 그리기 열중
자기암시 통해 마음의 병 치유
1년간 작품 130점..초인적 집중
빈센트 반 고흐 ‘붓꽃-아이리스’, 1890년, 반 고흐 미술관 암스테르담 소장


자기암시 요법의 창시자인 프랑스의 에밀 쿠에(1857~1926)는 인간 내면에 숨겨진 자기암시의 힘을 이용하면 몸과 마음의 질병을 치료하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기암시의 힘을 끌어내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는 말을 매일 습관적으로 반복하고,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의식적인 노력이나 의지로 생각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을 길들여 생각과 의지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것이다. 불멸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는 자기암시의 강력한 힘을 이용해 몸과 마음의 병을 치유하고자 시도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고흐가 남긴 편지에서 자기암시의 힘을 믿는 구절을 발견할 수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공부하지 않고 노력을 멈춘다면, 나는 패배하고 만다. 묵묵히 한길을 가면 무언가 얻는다는 게 내 생각이다.’ ‘오늘 우리를 병들게 하고 절망에 빠뜨리는 불행도 병에서 회복되는 내일이면 삶을 새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가 된다.’ 고흐의 걸작 ‘붓꽃-아이리스’는 그가 절망의 순간에도 자기암시를 통해 고난과 역경을 이겨낼 용기를 얻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폴 드 모졸(St.-Paul-de-Mausole) 전경


노란색 화병에 담긴 보라색 붓꽃을 그린 이 정물화는 고흐가 남프랑스 아를에서 15㎞ 떨어진 생레미 마을 인근 생폴 드 모졸 정신요양원에 입원한 기간에 제작한 그림 중 한 점이다. 고흐는 우울증과 잦은 발작으로 정신적 혼란을 겪던 중 스스로 생폴 드 모졸 정신요양원에 입원하기로 결심했다. 그리고 1889년 5월 8일부터 1890년 5월 16일까지 374일 동안 그곳에서 지냈다. 그가 신체의 자유를 자발적으로 구속한 가장 큰 동기는 반복되는 입원과 퇴원으로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였고, 주변 사람들의 적대적인 시선에 몸과 마음이 지쳤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외부와 단절된 공간에서 오로지 창작 활동에만 몰두하려는 욕구도 작용했다. 생폴 드 모졸은 스스로 고립을 원한 반 고흐에게 최적의 조건을 갖춘 곳이었다.

고흐 전문가 마틴 베일리에 따르면 이곳은 사립 요양원으로, 다른 공립 요양원과 달리 환자 수가 적었고, 비교적 자율적인 생활환경을 제공했다. 고흐는 건물 밖으로 외출할 수 있었던 유일한 환자였다고 한다. 또 창작의 영감을 주는 아름다운 정원이 있었다. 생폴 드 모졸에 입원한 첫 주부터 고흐는 5월의 정원에 핀 붓꽃에 매료돼 곧바로 화폭에 옮기기 시작했고 이듬해 퇴원할 때까지 붓꽃을 소재로 한 네 점의 그림을 완성했다.

그가 붓꽃에 흥미를 느끼고 지속적으로 탐구한 배경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고흐는 ‘기쁜 소식’ ‘행운’의 꽃말을 가진 붓꽃이 사악한 영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줄 것이라고 믿었다. 붓꽃을 그리면 광기와 발작을 이겨낼 수 있다는 자기암시가 붓꽃에 집착하게 된 강력한 동기가 됐다. 그런 그의 심정이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적혀 있다. ‘이곳으로 오길 잘한 것 같다. 요즘 보라색 붓꽃 그림과 라일락 덤불 그림 두 점을 그리고 있는데 두 점 모두 정원에서 얻은 소재다.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생각이 다시 생겨나고 있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도 다시 회복될 것이다.’

다음은 붓꽃을 활용한 색채 연구다. 정원에 핀 붓꽃을 실내로 옮긴 이 작품에 등장한 각기 다른 노란색의 탁자, 화병, 배경은 실물이 아니라 상상의 산물이다. 보라색 붓꽃과 보색 관계인 노란색을 사용하면 대담한 색상 대비로 장식미를 돋보이게 하는 동시에 강렬한 감정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고흐는 ‘나 자신을 보다 강렬하게 표현하기 위해 색을 자의적으로 사용한다’고 말했을 정도로 색의 시각적·심리적 감정 효과를 열정적으로 탐구한 화가였다.

이런 고흐가 가장 사랑한 색이 노란색이었다. 그는 노란색을 더욱 강렬하고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전략으로 보라색 붓꽃을 선택한 것이다. 고흐는 생폴 드 모졸에서 지낸 1년 동안 자기암시를 통해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 발작 증세와 자유를 구속당하는 삶으로 인해 잠시 절망에 빠지고, 그림 그리는 일이 불가능한 날들도 있었지만 그는 매번 자기암시를 통해 자신감을 회복하고 다시 붓을 쥐었다. 그 결과 놀라운 현상이 나타났다.

불과 1년 동안 130점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그림을 그린 것이다. 이는 2~3일에 한 점을 그려야 가능한 것이어서 굉장한 집중력을 갖고 경이로운 속도로 그림을 그렸음을 의미한다. 자기암시로 태어난 ‘붓꽃’ 연작은 고흐의 최고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이명옥 < 사비나미술관 관장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앱 다운받고 ‘암호화폐’ 받아가세요
한국경제 구독신청-구독료 10% 암호화폐 적립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