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시황] 국제유가, 코로나19 재확산·원유재고 증가에 하락

서혜진 2021. 4. 22. 08: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유가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원유 재고 증가 소식에 하락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1.32달러(2.1%) 하락한 배럴당 61.3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세븐스 리포트 리서치의 타일러 리치 공동 편집자는 "글로벌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하면서 수요 회복을 탈선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등 현재 원유 시장에 가격을 움직이는 요소가 많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처=뉴시스/NEWSIS)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국제유가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원유 재고 증가 소식에 하락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1.32달러(2.1%) 하락한 배럴당 61.3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 날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6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25달러(1.9%) 떨어진 배럴당 65.32달러에 장을 마쳤다.

전세계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글로벌 원유 수요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유가를 끌어내렸다.

인도에서는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도에서는 7일 연속 확진자 수가 20만 명을 웃돌고 있다.

일본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개월래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도쿄, 오사카 지역 등이 긴급사태 선언을 고려 중이다.

세븐스 리포트 리서치의 타일러 리치 공동 편집자는 "글로벌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하면서 수요 회복을 탈선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등 현재 원유 시장에 가격을 움직이는 요소가 많다"고 말했다.

이날 미국의 원유재고가 예상과 달리 증가했다는 소식도 유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 16일로 끝난 한 주간 원유 재고가 59만4000배럴 늘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는 240만 배럴 감소였다. 원유재고는 3주간 감소세를 지속하다 다시 늘어났다.

S&P 글로벌 플랫츠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원유재고가 440만 배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미국 의회가 추진 중인 석유수출국기구(OPEC) 산유국들을 상대로 한 새로운 법안에도 주목하고 있다.

전날 미 하원 법사위원회는 OPEC 산유국들에 대해 가격 담합 등의 이유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원유 생산 및 수출 카르텔 반대 법안(NOPEC)'을 통과시켰다.

본회의 상정까지 시간이 걸리지만, 미국이 다른 산유국들의 생산량 담합 등에 제동을 걸겠다는 의미라는 점에서 유가에 불확실성을 더할 수 있다.

리치 편집자는 "글로벌 코로나 상황이 악화하거나 NOPEC 법안이 의회에서 추진력을 얻거나 혹은 OPEC+ 산유국들이 생산 전망을 상향할 경우 유가는 50달러대 상단에 위치한 지지선을 테스트하거나 이를 깰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국제금값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늘어나면서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품 거래소에서 6월물 금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14.70달러(0.8%) 오른 1793.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한 때 0.9% 오르면서 지난 2월 24일 이후 2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국채 수익률이 하향 안정세를 보인 점도 금값 상승을 뒷받침했다.

미 국채 수익률은 10년물 기준으로 지난달 말 한때 1.77%까지 치솟은 뒤 1.52~1.60% 박스권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로스 노먼 메탈데일리 대표는 "중국 상하이에서 런던 가격 대비 10달러 프리미엄이 붙는 등 아시아 지역의 가격 민감도에 따라 금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며 "유럽의 금화와 골드바에 대한 물리적 수요도 여전히 증가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